• 본교(영주)캠퍼스
  • 동두천캠퍼스
대학원
대학원
  • 대학원소개
    • 인사말
    • 교육체계도
    • 일반대학원 연혁
    • 정보대학원 연혁
    • 교육대학원 연혁
  • 학과소개
    • 일반대학원 박사
    • 일반대학원 석사
    • 정보대학원 석사
    • 교육대학원 석사
  • 학사안내
    • 학사일정
    • 수강신청
    • 자격시험
    • 학위논문
  • 입학정보
    • 모집과정
    • 일반대학원
    • 정보대학원
    • 교육대학원
    • 정원외 입학
    • 장학제도
  • 학칙및제규정
    • 학칙
    • 일반대학원시행세칙
    • 특수대학원 시행세칙
    • 장학금 지급규정
    • 석사과정논문 대체인정에관한지침
  • 커뮤니티
    • 공지사항
    • 정보게시판
    • 서식자료실
    • GLP과정 게시판
    • GLP과정갤러리
    • 인트라넷
메뉴
  • 대학원소개
    • 인사말
    • 교육체계도
    • 일반대학원 연혁
    • 정보대학원 연혁
    • 교육대학원 연혁
  • 학과소개
    • 일반대학원 박사
    • 일반대학원 석사
    • 정보대학원 석사
    • 교육대학원 석사
  • 학사안내
    • 학사일정
    • 수강신청
    • 자격시험
    • 학위논문
  • 입학정보
    • 모집과정
    • 일반대학원
    • 정보대학원
    • 교육대학원
    • 정원외 입학
    • 장학제도
  • 학칙및제규정
    • 학칙
    • 일반대학원시행세칙
    • 특수대학원 시행세칙
    • 장학금 지급규정
    • 석사과정논문 대체인정에관한지침
  • 커뮤니티
    • 공지사항
    • 정보게시판
    • 서식자료실
    • GLP과정 게시판
    • GLP과정갤러리
    • 인트라넷

HOME   >   학과소개   >   일반대학원 박사

학과소개

  • 일반대학원 박사
  • 일반대학원 석사
  • 정보대학원 석사
  • 교육대학원 석사

일반대학원 박사

사회복지학과 한중문화학과 철도전기융합학과 컴퓨터공학과
경영학과  행정학과 유아교육학과 건설공학과
게임학과

사회복지학과(Dept. of Social Welfare)

과목명 학점 시간
한글 영문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Social Work Ethics and Philosophy 3 3
사회복지교육연구 Study on Social Welfare Education 3 3
고급사회복지조사론 Advanced Research Methodology in Social Welfare 3 3
사회복지실천이론연구 Study on Social Work Theory 3 3
사회복지정책세미나 Seminar in Social Policy 3 3
질적연구방법론 Qualitative Research Method 3 3
사회복지조직 및 행정연구 Study on Human Service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on 3 3
사회복지실천세미나 Seminar in Social Work Practice 3 3
사회복지상담세미나 Seminar in Social Work Counseling 3 3
사회복지프로그램개발연구 Study on Social Welfare Program Development 3 3
지역사회복지세미나 Seminar in Community Welfare 3 3
노인복지세미나 Seminar in Welfare for the Elderly 3 3
가족치료연구 Study on Family Therapy 3 3
정신보건사회복지세미나 Seminar in Social Work in Mental Health 3 3
사례관리세미나 Advanced Seminar in Case Management 3 3
고급사회복지통계 Advanced Data Analysis for Social Welfare 3 3
NGO와 사회복지 NGO and Social Welfare 3 3
고급정책분석과 평가 Advanced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3 3
다문화사회복지세미나 Seminar in Cultural Diversity and Social Welfare 3 3
아동발달 및 복지 세미나 Seminar in Child Development and Welfare 3 3
사회복지마케팅론 Marketing and Social Welfare 3 3
사회적기업론 Social Enterprise 3 3
사회복지와 경영연구 Study on Social Welfare and Management 3 3
보건과 사회복지서비스 Public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 3 3
보건의료사회학 Sociology of Health and Medicine 3 3
노인보건 Health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3 3
건강 및 요양 세미나 Seminar in Health and Long-term care 3 3
노인케어사례연구 Case Study on Care for the Elderly 3 3
건강증진기획 Health Promotion Program Planning 3 3
논문지도 Directed Research 2 2

    • ▸사회복지윤리와 철학(Social Work Ethics and Philosophy) : 3학점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를 실천하는데 있어 사회문화 가치, 실천원칙에 의한 가치, 그리고 사회복지사의 실천적 가치 및 윤리적 이슈들을 조명한다. 변화하는 한국사회의 사회복지실천의 장에서의 사회복지 윤리 문제를 연구, 토론하며, 특히 사회복지실천 대상자들의 인권을 위해 해결지침을 모색한다.

    • ▸사회복지교육연구(Study on Social Welfare Education) : 3학점

      이 과목에서는 사회복지의 발달과 사회복지교육에 대해 살펴보게 된다. 또한 사회복지교육에서 기술적 발달에 대해서도 살펴보며, 특히 학부, 대학원 석사과정, 박사과정의 교과과정연구에 강조점을 두며, 사회복지교육의 교수법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 ▸고급사회복지조사론(Advanced Research Methodology in Social Welfare) : 3학점

      사회복지 연구와 이론개발을 위해 필요한 연구방법론에 대해 학습한다. 연구과정에 대해 체계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다양한 유형의 연구논문을 비판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며, 최종적으로 관심 영역의 연구계획서를 작성한다.

    • ▸사회복지실천이론연구(Study on Social Work Theory) : 3학점

      이 과목에서는 사회복지실천의 근간이 되는 이론의 이해를 바탕으로 각 이론들이 실천에 기여하는 점을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특히 이론의 개념, 구조, 실천에 대한 원칙, 경험적 또는 해석학적 기반 등에 대해 연구한다.

    • ▸사회복지정책세미나(Seminar in Social Policy) : 3학점

      사회복지정책 분야에서의 연구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정책 이론, 조사방법, 논문작성법을 학습한다. 이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관심 연구 주제를 선정하고 관련 이론, 조사방법 등을 탐색하도록 학습한다.

    • ▸질적연구방법론(Qualitative Research Method) : 3학점

      질적연구방법의 이론적 배경과 다양한 탐구방법의 전통에 대해 알아보고 질적 사례연구, 근거이론, 현상학, 문화기술지, 생애사 등의 다양한 접근들을 살펴봄으로써 질적연구에 필요한 실천적 지식과 학술논문연구를 위한 역량을 함양한다.

    • ▸사회복지조직 및 행정연구(Study on Human Service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on) : 3학점

      사회복지 조직과 행정의 발달 및 현황에 관한 고찰과 함께 사회복지조직의 이해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이론들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 조직과 행정에 관련된 다양한 주제별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 과정 속에서 새로운 이해의 틀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사회복지 조직 및 행정과 관련된 현상들의 지식화를 위해 조사와 분석의 실제 연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 ▸사회복지실천세미나(Seminar in Social Work Practice) : 3학점

      이 세미나 과목은 현재 사회복지실천 분야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문제들을 구체화하고, 이러한 문제들의 영향을 이해하고 사정할 수 있는 개념적 틀을 찾을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이 과목에서 학생들은 개별, 집단, 가족, 지역사회와 관련된 여러 이슈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게 되며, 또한 사회정의와 문화적 다양성의 이슈에 대해서도 고려하게 된다.

    • ▸사회복지상담세미나(Seminar in Social Work Counseling) : 3학점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맞는 사회복지상담기법을 연구,개발한다. 서구에서 도입된 최신 사회복지상담기법의 이해와 학습을 기반으로 새로운 실천기법의 개발을 통해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토착화와 전문화를 추구한다.

    • ▸사회복지프로그램개발연구(Study on Social Welfare Program Development) : 3학점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배경과 전략을 연구하고, 사회복지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을 학습하여 사회복지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능력을 갖추게 한다.

    • ▸지역사회복지세미나(Seminar in Community Welfare) : 3학점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접근하는 사회복지 실천방법을 학습한다. 지역사회 원조기술의 이론과 방법을 습득하고, 나아가 지역사회복지의 다양한 실천분야를 이해함으로써 지역사회복지실천과 연구를 위한 전문적 역량을 갖추게 한다.

    • ▸노인복지세미나(Seminar in Welfare for the Elderly) : 3학점

      사회복지실천과 노인복지를 통합적인 시각에서 살펴본다. 노인복지실천의 지식과 가치기반, 다양한 개입방법을 적용한 문제해결과정, 노인을 위한 역량강화, 특히 일자리를 통한 노인의 사회참여 등 노인복지에 관한 다양한 주제를 활용한 연구와 발표로 진행된다.

    • ▸가족치료연구(Study on Family Therapy) : 3학점

      가족치료에 관한 전문적 이론과 기술을 학습한다. 가족치료 각 모델의 이론과 기술을 소개하고 실제사례를 적용해본다. 나아가 서구에서 발달된 다양한 가족치료모델을 통하여 한국 가족문제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고 모형개발을 시도해본다.

    • ▸정신보건사회복지세미나(Seminar in Social Work in Mental Health) : 3학점

      현대사회에서 야기되는 다양한 정신보건의 문제를 짚어보고, 정신질환의 예방, 치료, 재활, 그리고 사회보장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검토하고 분석하며 개발해본다. 정신질환의 진단 및 사정의 도구에 대해 학습하며, 법과 정책에 관해 분석하고 개발해본다.

    • ▸사례관리세미나(Advanced Seminar in Case Management ) : 3학점

      사회복지대상자들의 서비스를 통합화하고 연계, 조정하는 사례관리시스템에 관한 국가 및 지역수준의 통합사례관리시스템 및 구체적 실천과정을 연구하고 학습한다.

    • ▸고급사회복지통계(Advanced Data Analysis for Social Welfare) : 3학점

      사회복지통계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이해와 학습을 위한 것으로 회귀분석을 포함하여 다양한 다변량분석 방법들을 학습한다. 또한 사회복지 연구와 이론개발을 위해 필요한 여러가지 다변량 분석방법들을 학습하게 된다.

    • ▸NGO와 사회복지(NGO and Social Welfare) : 3학점

      사회복지와 NGO의 관련성을 이념, 국가, 그리고 운동의 차원에서 살펴보고, NGO에 대한 이론과 사회적 책임성에 대하여 학습한다, 또한 NGO의 일부로서 혹은 NGO와 협력하는 조직으로서의 사회복지조직의 역할을 연구한다.

    • ▸고급정책분석과 평가(Advanced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 3학점

      사회복지 정책분석의 가치와 분석과정 그리고 정책분석 및 평가의 방법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의료정책, 아동복지정책, 소득보장 정책 등 다양한 사회복지정책들의 경제적, 행정적 그리고 사회복지적 효과성을 살펴볼 것이다.

    • ▸다문화사회복지세미나(Seminar in Cultural Diversity and Social Welfare) : 3학점

      다양한 문화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 수 있는 민감성, 인식, 지식과 기술을 개발하기 위 한 과목이다. 특히 다양한 문화집단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는데 필요한 인지적 지식과 기술을 확장하고, 문화적으로 다양한 집단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또 한 학생들은 사회정의, 문화적 다양성, 문화적으로 유능한 사회복지실천 등과 관련된 이슈들을 검토하게 된다.

    • ▸아동발달 및 복지 세미나(Seminar in Child Development and Welfare) : 3학점

      발달단계에 따른 아동의 이해와 아동기의 다양한 문제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방법을 다룬다. 특히 저소득, 이혼, 다문화가족내 아동에 대한 복지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이들에 대한 대한 지원방법을 학습하고 연구한다.

    • ▸사회복지마케팅론(Marketing and Social Welfare) : 3학점

      마케팅의 개념과 원리 등을 확용하여 비영리기관으로서 사회복지조직이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각종 자원을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을 탐구한다.

    • ▸사회적기업론(Social Enterprise) : 3학점

      고용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다양한 사회적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횅하는 사회적기업에 대해 이해하고, 시장이윤과 사회적기능의 양립가능성, 사회적기업의 유형, 사회적기업의 사회복지적 기능 등을 학습한다.

    • ▸사회복지와 경영연구(Study on Social Welfare and Management ) : 3학점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복지서비스의 비즈니스화를 통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커뮤니티비지니스(CB) 모형을 살펴보고, 지역공동체 활성화, 재정자립, 고용창출 등을 지향하는 새로운 복지모형으로의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한다.

    • ▸보건과 사회복지서비스(Public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 : 3학점

      질병과 건강문제에 대한 사회복지학적 관점과 개념, 이론 등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보건의료 문제를 인간의 사회적 행위, 사회조직, 사회구조 차원의 다양한 현상들과 연관지어 살펴보고, 최근의 주요 보건의료 관련 문제들을 사회현상의 한 부분으로 이해하고 사회복지적 정책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안목을 높인다.

    • ▸보건의료사회학(Sociology of Health and Medicine) : 3학점

      현대사회의 다양한 질병과 건강의 문제를 학제간 접근을 통하여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해보고 그것의 해결책을 모색해봄으로써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한다.

    • ▸노인보건(Health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 3학점

      노년기에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기능상태의 저하로 다양한 보건, 의료, 복지, 요양 등의 서비스를 필요로 하게 된다.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주요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학, 보건학, 간호학 등의 다학제적 관점에서 노인의 문제를 포괄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다룬다.

    • ▸건강 및 요양 세미나(Seminar in Health and Long-term care) : 3학점

      노인, 장애인 등 의존적인 집단의 케어와 실천방법을 연구하고, 사회복지, 간호, 보건, 재활 등의 측면에서 접근해보는 연습을 하게 된다.

    • ▸노인케어사례연구(Case Study on Care for the Elderly) : 3학점

      국내외 다양한 노인케어에 관한 정책과 사례들을 학습함으로써 케어서비스의 질적수준을 향상시키고 케어를 위한 새로운 모델을 구축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 ▸건강증진기획(Health Promotion Program Planning) : 3학점

      본 교과목은 건강증진과 건강행위에 대한 개념과 특징을 수준별로 설명하도록 하며, 건강증진과 건강행위 이론을 제시함으로써 여러 유형의 건강관리 場에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독자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인 지식을 갖추게 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논문지도(Directed Research) : 2학점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들에 관하여 다룬다. 논문주제 선정방법, 조사설계의 방법, 주요자료수집방법,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 논문의 체계와 서술방법 등에 관해 학습한다.

한중문화학과(Dept. of Korean-Chinese culture)

과목명 학점 시간
한글 영문
통번역이론과 실제 Theory and Practice i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3 3
번역문장론 Syntax of Interpretation 3 3
사서강해 Translation of the Four Books 3 3
사기강해 Translation of Shiji 3 3
중한언어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inese-Korean language 3 3
중한역사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inese-Korean history 3 3
중한문화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inese-Korean culture 3 3
문화재학 특강 Topics in Cultural Properties 3 3
한국 문화재 특강 Topics in Korean Cultural Properties 3 3
한국사 특강 Topics in Korean History 3 3
논문지도 Directed Research 2 2
중한 일반번역 Practice Translation in Chinese-Korean 3 3
중한 전문번역 Advanced Practice Translation in Chinese-Korean 3 3
중한 순차통역 Chinese-Korean Consecutive interpretation 3 3
중한 동시통역 Chinese-Korean Simultaneous interpretation 3 3
한국어 숙달 Proficiency in Korean 3 3
한국어 변론 Public Speech in Korean 3 3
경서강해 1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 1 3 3
경서강해 2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 2 3 3
한중운문강해 Translation of Chinese-Korean verse 3 3
한중산문강해 Translation of Chinese-Korean Classical prose 3 3
고전국역의 실제 Practice in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3 3
문화재학 특강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 1 3 3
문화재 보존과학 특강 Topics in Conservation 3 3
문화재 조사 특강 Topics in Cultural Properties Analysis 3 3
문화재 분석 특강 Topics in Cultural Properties Investigation 3 3
박물관학 특강 Topics in Museology 3 3
박물관 전시 특강 Topics in Exhibition Plan 3 3
고고학 특강 Topics in Archaeology 3 3
선사 고고학 특강 Topics in Prehistorical Archaeology 3 3
역사 고고학 특강 Topics in Historical Archaeology 3 3
일본 고고학 특강 Topics in Japanese Archaeology 3 3
고고학 세미나 Seminar in Archaeology 3 3
고고학 강독(1) Reading in Archaeology(1) 3 3
고고학 강독(2) Reading in Archaeology(2) 3 3

    • ▸통번역이론과 실제(Theory and Practice i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 3학점

      일반 통번역이론 및 중국어 통번역이론을 습득하고 이를 실제 상황에 적용시켜 보는 연습을 한다.

    • ▸번역문장론(Syntax of Interpretation) : 3학점

      한국어 문장 구조를 정확하게 이해하여 중국어, 한문과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한국어 문장 표현능력을 집중적으로 익힌다.

    • ▸사서강해(Translation of the Four Books) : 3학점

      논어, 맹자, 대학, 중용의 주요 문장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면서 한국어로 자연스럽게 번역하는 훈련을 한다.

    • ▸사기강해(Translation of Shiji) : 3학점

      사기(史記)의 주요 문장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면서 한국어로 자연스럽게 번역하는 훈련을 한다

    • ▸중한언어비교연구(A comparative study on the Chinese-Korean language) : 3학점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국어와 한국어의 언어체계와 특징을 비교분석한다.

    • ▸중한역사비교연구(A comparative study on the Chinese-Korean history) : 3학점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국과 한국의 역사를 비교분석한다.

    • ▸중한문화비교연구(A comparative study on the Chinese-Korean culture) : 3학점

      중국과 한국의 문화적 특징을 분야별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한다.

    • ▸문화재학 특강(Topics in Cultural Properties) : 3학점

      문화재학과 관련된 주제 가운데 최근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는 분야를 선정하여 심도 깊게 학습한다.

    • ▸한국 문화재 특강(Topics in Korean Cultural Properties) : 3학점

      한국 문화재학의 여러 종류 가운데 몇 가지를 선정하여 심도 깊게 학습한다.

    • ▸한국사 특강(Topics in Korean History) : 3학점

      한국사의 여러 분야 가운데 최근 논쟁이 되는 분야를 선정하여 심도 깊게 학습한다.

    • ▸중한 일반번역(Practice Translation in Chinese-Korean) : 3학점

      번역의 기본적인 문장을 위주로 한국어와 중국어로 번역하는 연습을 하고 자연스런 한국어 사용능력을 배양한다.

    • ▸중한 전문번역(Advanced Practice Translation in Chinese-Korean) : 3학점

      연구논저나 기술서적 등의 전문적인 문장을 한국어와 중국어로 번역하는 학습을 한다.

    • ▸중한 순차통역(Chinese-Korean Consecutive interpretation) : 3학점

      실제 상황에서 있을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중국어와 한국어를 순차통역하는 테크닉을 학습한다.

    • ▸중한 동시통역(Chinese-Korean Simultaneous interpretation) : 3학점

      실제 상황에서 있을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중국어와 한국어를 동시통역하는 테크닉을 학습한다

    • ▸한국어 숙달(Proficiency in Korean) : 3학점

      외국학생들의 한국어 구사능력을 모국어 수준으로 제고시키는 훈련을 한다.

    • ▸한국어 변론(Public Speech in Korean) : 3학점

      외국학생들의 능숙한 한국어 통번역에 필요한 한국어 이해력, 논리력, 분석력, 순발력 등 핵심적인 기량을 익힌다.

    • ▸경서강해 1(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 1) : 3학점

      삼경(三經)의 주요 문장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면서 한국어로 자연스럽게 번역하는 훈련을 한다.

    • ▸경서강해 2(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 2) : 3학점

      오경(五經)의 주요 문장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면서 한국어로 자연스럽게 번역하는 훈련을 한다.

    • ▸한중운문강해(Translation of Chinese-Korean verse) : 3학점

      한중 양국의 고대운문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면서 한국어로 자연스럽게 번역하는 훈련을 한다.

    • ▸한중산문강해(Translation of Chinese-Korean Classical prose) : 3학점

      한중 양국의 고대산문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면서 한국어로 자연스럽게 번역하는 훈련을 한다.

    • ▸고전국역의 실제(Practice in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 3학점

      한국고전의 대표적인 문장이나 아직 번역되지 않은 텍스트를 선정하여 이를 국역하는 훈련을 한다.

    • ▸문화재학 특강(Topics in Cultural Properties) : 3학점

      문화재학의 개론적인 내용을 수업한 다음, 몇 개의 특정 분야를 심도 깊게 학습한다.

    • ▸문화재 보존과학 특강(Topics in Conservation) : 3학점

      문화재 보존과학의 여러 분야 중 몇 개를 선정하여 심도 깊게 학습한다.

    • ▸문화재 조사 특강(Topics in Cultural Properties Analysis) : 3학점

      문화재 조사의 여러 분야 중 몇 개를 선정하여 심도 깊게 학습한다.

    • ▸문화재 분석 특강(Topics in Cultural Properties Investigation) : 3학점

      문화재 분석의 여러 분야 중 몇 개를 선정하여 심도 깊게 학습한다.

    • ▸박물관학 특강(Topics in Museology) : 3학점

      박물관학의 개론적인 내용을 학습한 다음, 몇 개의 분야를 심도 깊게 학습한다.

    • ▸박물관 전시 특강(Topics in Exhibition Plan) : 3학점

      박물관 전시의 몇 개 분야를 선정하여 심도 깊게 학습하고 나름의 기획안을 작성해 본다.

    • ▸고고학 특강(Topics in Archaeology) : 3학점

      고고학의 정의와 역사, 연구 방법 등 개론적인 내용에 관해 넓게 학습한 다음, 몇 개의 특정 분야를 심도 깊게 논의한다.

    • ▸선사 고고학 특강(Topics in Prehistorical Archaeology) : 3학점

      선사 고고학의 여러 분야 가운데 몇 개를 선정하여 심도 깊게 학습하고 토론한다.

    • ▸역사 고고학 특강(Topics in Historical Archaeology) : 3학점

      역사 고고학의 여러 분야 가운데 몇 개를 선정하여 심도 깊게 학습하고 토론한다.

    • ▸일본 고고학 특강(Topics in Japanese Archaeology) : 3학점

      일본 고고학의 여러 분야 가운데 몇 개를 선정하여 심도 깊게 학습하고 토론한다.

    • ▸고고학 세미나(Seminar in Archaeology) : 3학점

      자유롭게 주제를 선정한 다음, 발표와 토론의 과정을 거치면서 심도 깊은 학습을 진행한다.

    • ▸고고학 강독(1)(Reading in Archaeology(1)) : 3학점

      최근 이론이나 성과를 반영하는 고고학 원서를 강독함으로써 선진 지식을 학습한다.

    • ▸고고학 강독(2)(Reading in Archaeology(2) : 3학점

      최근 이론이나 성과를 반영하는 고고학 원서를 강독함으로써 선진 지식을 학습한다

    • ▸논문지도(Directed Research) : 2학점

      논문 작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철도전기융합학과 (Department of Construction Engineering)

과목명 학점 시간
한글 영문
통신회로및시스템특론 Advanced Communication Circuit and System 3 3
정보보호특론 Advanced Information Security 3 3
무선네트워크특론 Advanced Wireless Network 3 3
디지털영상처리특론 Advanced Digital Image Processing 3 3
모바일프로토콜특론 Advanced Mobile Protocol 3 3
전자회로특론 Advanced Electronic Circuits 3 3
모바일네트워크특론 Advanced Mobile Network 3 3
전기철도시스템특론 Advanced Electric Railway System 3 3
전철전력계통해석특론 Advanced Railway Power System Analysis 3 3
철도신호보안시스템특론 Advanced Railway Signal Security System 3 3
자동열차제어시스템특론 Advanced Automatic Train Control System 3 3
열차추진제어시스템특론 Advanced Train Propulsion Control System 3 3
신교통시스템공학 New Transportation System Engineering 3 3
철도시스템공학 Railway Systems Engineering 3 3
고속전철시스템특론 Advanced High-speed Rail System 3 3
철도시스템신뢰성공학 Railway System Reliability Engineering 3 3
교통정책특론 Advanced Transport Policy 3 3
국제전기철도시스템특론 Advanced International Electric Railway System 3 3
국제철도복합운송체계론 International Railway Multimodal Transport Systems 3 3
철도통신망특론 Advanced Railway Communication Network 3 3
ICT융합특론 Advanced ICT Convergence 3 3
철도정보융합특론 Advanced Railway Information Convergence 3 3
초고속통신망특론 Advanced High Speed Communication Network 3 3
영상부호화특론 Advanced Image Coding 3 3
CDMA통신특론 Advanced CDMA Communication 3 3
데이터압축특론 Advanced Data Compression 3 3
DSP응용특론 Advanced DSP Application 3 3
디지털통신시스템특론 Advanced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3 3
부호및정보이론특론 Advanced Coding and Information Theory 3 3
논문지도 Directed Research 2 2
    • ▸통신회로및시스템특론(Advanced Communication Circuit and System) : 3학점

      위성통신 및 이동통신에 응용되는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수신기 및 송신기의 구조 및 종류 등에 대해서도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 ▸정보보호특론(Advanced Information Security) : 3학점

      네트워크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에 관련하여 요구되는 보안 기능을 심층적으로 살펴본다. 근거리 통신보안, 무선 근거리 통신망, WAN상에서의 사용자 인증, 컴퓨터간의 인증, 암호화 등의 정보 보호로 요소에 대해서 학습하며, DDoS공격, 홀공격, 바이러스 등의 정보침해 요소에 대해서도 탐색하며, 방화벽, IDS/IPS 등의 정보침해 대응요소에 대해서도 탐구한다.

    • ▸무선네트워크특론(Advanced Wireless Network) : 3학점

      이동통신의 중요한 요소 기술로서 Wi/Fi 네트워크, 센서네트워크 등 무선네트워크 구축에 대해 심도있는 교육을 통해 전문 소양을 배양한다.

    • ▸디지털영상처리특론(Advanced Digital Image Processing) : 3학점

      컴퓨터에 의한 영상처리와 분석을 다룬다. 이를 위해 영상의 샘플링 양자화, 이산영상의 수학적 표현방법, 2차원 신호처리기법을 배우고 여러 가지 영상분석기법에 대해 배운다.

    • ▸모바일프로토콜특론(Advanced Mobile Protocol) : 3학점

      모바일통신에서 사용되는 Wi/Fi, LTE, TRS, 모바일 IP 등의 프로토콜의 원리, 설계 및 구현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학습한다. 각 프로토콜의 적용 사례 , 발전 동향 및 표준화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 ▸전자회로특론(Advanced Electronic Circuits) : 3학점

      전자분야에 응용하는 각종 능․수동회로와 회로시스템의 해석, 합성, 설계에 관련되는 이론과 실제를 다룬다.

    • ▸모바일네트워크특론(Advanced Mobile Network) : 3학점

      인프라네트워크, 모바일 Ad-Hoc 네트워크, USN, CAN 비롯한 각 종 모바일 네트워크의 구조, 설계, 구축, 성능 및 운영에 관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하며, 모바일 네트워크의 발전동향 및 표준화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아울러 산업현장에서의 활용사례에 대해서도 조사 분석한다.

    • ▸전기철도시스템특론(Advanced Electric Railway System) : 3학점

      변압기, 정류기, 차단기 등 일반 전기기기의 원리 및 특성을 학습하고 철도전력 공급설비, 전차선 설비, 변전설비와 제어 및 관리기법을 철도전기분야에 특화하여 학습한다.

    • ▸철도신호보안시스템특론(Advanced Railway Signal Security System) : 3학점

      열차간의 충돌 및 탈선을 방지하고 열차의 운행을 제어하기 위한 철도신호제어시스템의 기능과 구성에 대하여 학습한다. 지상신호장치와 차상신호장치와의 연계성과 연동장치 등 보안시스템의 기술을 다룬다.

    • ▸자동열차제어시스템특론(Advanced Automatic Train Control System) : 3학점

      차상 자동제어 설비의 구조와 기능 및 지상설비와의 인테페이스 등을 학습하고 운전속도와 연관하여 제동장치와의 연계 안정성 등을 다룬다. 열차와 지상설비와의 송수신과 열차 위치 검지 및 열차간격 제어를 위한 무선통신 기반의 열차제어 시스템 등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학습한다.

    • ▸열차추진제어시스템특론(Advanced Train Propulsion Control System) : 3학점

      철도차량 분야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반도체소자 및 정류회로, 제어정류기, 쵸퍼장치, 인버터, 사이클로 콘버터 등의 동작 원리와 회로해석 및 설계에 대하여 학습한다. 열차의 가감속제어시스템에 사용되는 전력전자기기의 설계와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기법에 대하여 다룬다.

    • ▸신교통시스템공학(New Transportation System Engineering) : 3학점

      중전철 이후에 개발, 도입되고 있는 자기부상열차, 모노레일, 무가선트램 등 신 교통시스템을 심층적으로 학습하고. 에너지절감과 경제적 교통시스템의 구축기술을 다룬다. 효율적 도시교통 체계 구축을 위한 교통시스템 설계 등에 대한 학습을 진행한다.

    • ▸철도시스템공학(Railway Systems Engineering) : 3학점

      고속철도의 운행실태를 분석하고 고속철도 차량 및 전기, 신호설비 등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학습하며, 고장방지와 효율적 운행방안과 발전방향을 다룬다. 지진, 태풍 등에 대비한 안전설비의 구축실태를 확인하고 보완방안을 모색한다.

    • ▸철도시스템신뢰성공학(Railway System Reliability Engineering) : 3학점

      철도용품 및 차량, 전기등 기반시설에 적용되는 시스템에 대한 신뢰성 기 준과 시험방법등을 다루고. RAMS기법을 도입하여 철도시스템과 용품의 안전성과 신뢰성, 위험도분석기법 등을 학습한다.

    • ▸교통정책특론(Advanced Transport Policy) : 3학점

      안전하고 편리한 철도 이용환경 구축 정책과 지속적인 도시 및 광역철도확충 정책 등을 학습하고, 전국 주요 거점을 고속철도망으로 연결하는 방안과 세계최고 수준의 첨단 철도기술 개발 정책 등 철도산업 발전정책을 다룬다.

    • ▸국제전기철도시스템특론(Advanced International Electric Railway System) : 3학점

      전기에너지로 움직이는 전기철도는 전철·전력, 정보통신, 신호제어 부분으로 구성되어 상호지원과 보완을 통해 철도 운송시스템의 기반을 이루고 있다. 전기철도 설비의 첨단시스 템 응용방법을 연구하여 철도운영의 기술력을 높이고, 이러한 철도운영기술의 해외진출을 촉진하기 위하여 해외 전기철도 기술연구 및 정보 분석으로 기술 인력을 양성하여 국내외 전기철도설비 안전진단 등의 대응능력을 기른다.

    • ▸국제철도복합운송체계론(International Railway Multimodal Transport Systems) : 3학점

      복합운송이 화물을 자기 책임 하에 인수하여 어느 국가의 한 지점에서 다른 국가에 위치해 있는 지정 인도지점까지 복합운송 계약에 의거 해상, 내수로, 항공, 철도나 도로운송 등 여러 운송방식 중 2종류 이상의 운송수단을 사용하여 운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컨테이너에 의한 화물의 복합운송은 해상과 육상(철도), 항공운송에 이르기까지 전 수송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연결 수송할 수 있게 한 중대한 수송혁신이다.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제구조상 수출입 물동량의 효율적인 수송루트 개발을 위하여 현지 철도수송에 따른 복합운송체계를 연구한다.

    • ▸철도통신망특론(Advanced Railway Communication Network) : 3학점

      정보통신망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고, 철도산업에 사용되는 신호, 정보 및 물류 관련 제반정보통신망을 기술 및 운영 관점에서 탐구하고 연구한다. 특히 이 분야에 대한 국제적 활용 현황 및 표준화 등에 대해서도 조사해본다.

    • ▸ICT융합특론(Advanced ICT Convergence) : 3학점

      공학간 융합을 넘어 산업간 융합의 단계로 진화하는 ICT 융합기숡하 관련하여 기반기술을 비롯한 응용 기술을 살펴보고 국내현황 및 국제동향을 조사분석한다. 특히 1차 및 3차 산업을 비롯한 산업간 융합, 철도를 비롯한 기간 산업과 관련 분야와 관련 ICT 융합을 사례 연구로 살펴본다.

    • ▸철도정보융합특론(Advanced Railway Information Convergence) : 3학점

      정보시스템 및 관리체계는 산업의 경쟁력확보의 근간을 이루는 토대이다. 이 교과목에서는 철도분야에서 사용되는 제반 정보 및 장보관련 기술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살펴본다. 국내 및 철도 주요 선진국의 철도 정보융합 체계를 사례연구로 심층 분석해본다.

    • ▸초고속통신망특론(Advanced High Speed Communication Network) : 3학점

      ISDN, ATM등 초고속 통신을 위한 이론적인 배경과 이의 구성을 위한 Network구성 방법에 대해 다룬다.

    • ▸영상부호화특론(Advanced Image Coding) : 3학점

      통신, 방송, 저장미디어, 컴퓨터분야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디지털 동영상 부호화와 관련되는 이론과 실제를 다룬다.

    • ▸CDMA통신특론(Advanced CDMA Communication) : 3학점

      이동통신의 핵심중의 하나인 CDMA통신에 관한 이론, 설계, 구축 및 응용을 비롯한 시스템전반에 대해 심층적으로 학습한다.

    • ▸데이터압축특론(Advanced Data Compression) : 3학점

      멀티미디어 시대에 대응하여 정보의 압축을 통해 전송의 효율성을 올릴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압축 기술 및 응용 분야, 기술동향 및 표준화에 탐구한다.

    • ▸DSP응용특론(Advanced DSP Application) : 3학점

      디지털신호처리를 이용한 시스템설계등 다양한 응용 방법에 대해 심도있는 연구를 통해 응용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 ▸디지털통신시스템특론(Advanced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 3학점

      QPSK, QAM, OFDM, TDMA, GSM, CDMA등 디지털 통신 전반에 대한 변조 및 시스템 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본다.

    • ▸부호및정보이론특론(Advanced Coding and Information Theory) : 3학점

      정보통신계의 모델, 엔트로피, Source coding, Channel Coding, 정보전송과 신호, 연속통신로, 정보원 부호화의 왜곡 등에 대해 탐구한다.

    • ▸논문지도(Directed Research) : 2학점

      각자의 전공분야에 따라 지도교수의 논문연구 지도를 받는다. 교과과정이 끝난 후에 학생 개별적으로 개설된다.

컴퓨터공학과(Dept. of Computer Engineering)

과목명 학점 시간
한글 영문
컴파일러특론 Topics on Compiler Construction 3 3
차세대인터넷 Internet II 3 3
프로그래밍언어 구조론 Structures of Programming Languages 3 3
인공지능언어 Languag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3 3
퍼지이론 Fuzzy Theory 3 3
웹신기술특론 New Technology for Web Applications 3 3
프로그래밍 언어의미특론 Semantics of Programming Languages 3 3
컴퓨터통신망 특론 Advanced Computer Networks 3 3
프로그램조작기법 Program Manipulation and Transformation 3 3
멀티미디어 통신특론 Advanced Multimedia Communication 3 3
정보보호 Information Security 3 3
인공지능 응용 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3 3
멀티미디어저작 Authoring of Multimedia Contents 3 3
게임S/W개발기법 Technology of Game S/W Development 3 3
영상처리 Digital Image Processing 3 3
컴퓨터시각 Computer Vision 3 3
데이터압축 Data Compression 3 3
신경망이론 Neural Networks 3 3
컴퓨터공학세미나1 Seminar I 3 3
컴퓨터공학세미나2 Seminar II 3 3
디바이스드라이버프로그래밍2 Device Driver Programming 2 3 3
병렬처리컴퓨터 Computer Architecture for Parallel Processing 3 3
소프트웨어보안 Software Security 3 3
타입시스템 Type Systems 3 3
운영체제특론 Advanced Operating Systems 3 3
컴퓨터시스템설계론 Theory of Computer System Design 3 3
컴퓨터네트워크특론 Advanced Computer Network 3 3
멀티미디어특론 Advanced Multimedia 3 3
정보공학특론 Advanced Information Engineering 3 3
프로그래밍프로젝트 Programming Project 3 3
프로그램분석론 Principles of Program Analysis 3 3
네트워크보안 Network Security 3 3
프로그램검증기법 Logic for Program Verification 3 3
정보통신특론 Advanced Information Communication 3 3
컴퓨터네트워크응용 Applications of Computer Network 3 3
논문지도 1 Directed Research 1 2 2
논문지도 2 Directed Research 2 2 2
    • ▸컴파일러특론(Topics on Compiler Construction) : 3학점

      Lexical analysis, Parsing, Semantic analysis, Intermediate Code Generation, Symbol Table Management, Code generation, Code Optimization 등의 개념과 이들의 구현방법 등을 습득한다.

    • ▸차세대인터넷(Internet II) : 3학점

      컴퓨터네트워크의 모델, 개방형시스템접속(OSI), 근거리 통신망(LAN), TCP/IP, 네트워크 어플 리케이션 등에 대하여 배우고, 실습을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를 익힌다.

    • ▸프로그래밍언어구조론(Structures of Programming Languages) : 3학점

      프로그래밍 언어의 구문적 구조와 의미적 구조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 람다계산법을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설계 기법과 구현 기법을 습득하고 함수 언어와 객체지향 언어의 핵심 언어를 대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 이론을 공부한다.

    • ▸인공지능언어(Languag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 3학점

      인공지능형 언어(LISP, Prolog 등)를 공부한 후 지식표현방법, 탐색, 자연어처리, 학습 등의 예제를 다룬다.

    • ▸퍼지이론(Fuzzy Theory) : 3학점

      모호한 자연현상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퍼지집합의 개념, 퍼지연산, 퍼지논 리, 퍼지 그래프 등의 기본이론을 소개하고, 이를 의학, 사회과학, 패턴인식 등에서 응용하고 있는 실례를 소개한다.

    • ▸웹신기술특론(New Technology for Web Applications) : 3학점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로 개인적이나 사업 목적으로 홈페이지를 개설하는 사례가 대중화되 고 있다. 이 과정에서는 인터넷과 웹 사이트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기본지식을 배우고, HTML언어로부터 CGI, Java 언어를 사용하여 동적으로 동작하는 대화성 홈페이지를 구성하 며, 그래픽, 애니메이션, 소리와 동영상을 포함시켜 스스로가 자신의 홈페이지를 생동감 있고 효과적으로 작성하는 방법을 배운다.

    • ▸프로그래밍 언어의미특론( Semantics of Programming Languages) : 3학점

      프로그래밍 언어 의미론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설계 및 구현 뿐 아니라 프로그램 분석과 검증 을 정형적으로 다루는 데에 기본이 된다. 프로그램의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natural semantics, structural operational semantics, direct style denotational semantics, continuation passing style denotational semantics, axiomatic semantics 등 다양한 의미론 과 추상기계, 인터프리터등의 개념을 습득하고 이의 구현을 경험한다.

    • ▸컴퓨터통신망특론(Advanced Computer Networks) : 3학점

      데이타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의 광범위한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와주고 네트워크 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관련되는 기술의 이해와 사용 능력의 배양이 목적이다.

    • ▸프로그램 조작기법(Program Manipulation and Transformation) : 3학점

      프로그램을 분석하거나 검증하고, 실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조작 기법을 습득한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동치 프로그램으로 변환하는 기법을 공부하고 이들의 동치성을 증명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 ▸멀티미디어 통신 특론(Advanced Multimedia Communication) : 3학점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종류에 따라 공간적 혹은 시간적으로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므로 이제까 지의 전송 방법이나 프로토콜로는 처리할 수 없다. 이 과목에서는 멀티미디어의 특성과 응용 프로그램의 요구 사항에 적합한 통신방안을 다룬다.

    • ▸정보보호(Information Security) : 3학점

      정보를 생성하고 전달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 기밀성(Confidentiality), 자료의 무결 성, 실체의 인증, 부인 봉쇄 등의 서비스가 보장되지 않는다면 안정된 정보화 사회를 이룰 수 없다. 이 과목에서는 과거의 전통적인 암호 기술에서부터 최근의 각종 암호 알고리즘과 기타 정보 보호 서비스에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룬다.

    • ▸인공지능 응용(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 3학점

      인간의 정보와 지식처리 과정의 유추를 통하여 연구하는 인공지능 컴퓨터 시스템의 개요를 배운다. 지식표현 방법, 지식이용방법, 자연언어처리, 신경망 컴퓨터 등 최근의 연구 주제를 대상으로 이해한다.

    • ▸멀티미디어저작(Authoring of Multimedia Contents) : 3학점

      멀티미디어 저작을 하는 기본적인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개인적으로 멀티미디어 타이틀을 제 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교육 과정은 멀티미디어 타이틀의 이해, 멀티미디어 개론, 타 이틀의 전체적인 제작 과정, 타이틀 기획 등을 배운 후, 특정한 저작 도구의 사용하는 법을 배워 개인별로 아이디어를 발휘한 CD-ROM 타이틀을 완성하도록 한다.

    • ▸게임 S/W 개발 기법(Technology of Game S/W Development) : 3학점

      게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게임 설계 방법과 이것을 소프트웨어 상으로 구현하는 방법 을 위한 이론적인 연구와 구현 기술에 관하여 다룬다. 슈팅게임, 레이싱게임, 아케이드게임, 머드게임, 시뮬레이션 게임, Role Playing Game등의 이론적인 접근과 이것을 구현하기 위해 필수적인 프로그래밍 기술, 게임 전략과 시나리오를 작성을 위한 기법, 2-D와 3-D를 적용하기 위한 그래픽스 기술 등을 학습한다.

    • ▸영상처리(Digital Image Processing) : 3학점

      컴퓨터 시각이란 사람의 시각장치와 동일한 능력을 가지는 컴퓨터 시스템을 만들고자 하는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전처리과정으로서의 영상처리와 후처리과정으로서의 패턴인식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영상처리는 컴퓨터를 이용한 화상의 저장 및 처리를 다루는 기술들에 대한 총 칭으로 영상 취득시 유입되는 잡음을 제거하여 더욱 높은 질의 영상으로 만드는 영상복원, 물 체의 윤곽선을 찾아내는 에지검출, 다른 영상의 일부분으로부터 새로운 영상을 만들어내는 영상 재구성 등의 기술을 포함한다.

    • ▸컴퓨터시각(Computer Vision) : 3학점

      인간의 시각시스템의 특징에 대한 연구를 통해 화상처리 및 컴퓨터그래픽 그리고 지형정보시 스템(GIS)등의 많은 분야에 응용되고 있는 분야이다. 이에 대한 전반전인 기초이론과 몇 가지 실제 응용들을 다룬다.

    • ▸데이터 압축(Data Compression) : 3학점

      본 강의에서는 이진 값이나 그레이 스케일 값을 가지는 정영상을 압축하고 복원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살펴보고, 국제 표준으로 정의된 JBIG, JPEG 등의 기법들을 살펴본다.

    • ▸신경망 이론(Neural Network Theory) : 3학점

      인공지능에 기초한 신경회로망의 개념, 학습규칙, 인식규칙 등에 대하여 강의하고, 각종 신경 회로망의 모델과 weightless신경망을 학습하며 패턴인식, 자연어처리, 영상처리, 음성인식 등 에 관한 응용예제를 다룬다.

    • ▸컴퓨터공학 세미나1(Seminar I) : 3학점

      컴퓨터공학의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Team Teaching 위주로 진행되며, 그 내용은 학문의 발전 동향에 따라 선정된다.

    • ▸컴퓨터공학 세미나2(Seminar II) : 3학점

      컴퓨터공학의 최신 발전 동향을 습득하기 위한 과정으로 Team Teaching 위주로 진행되며, 그 내용은 학문의 발전 동향에 따라 선정된다.

    • ▸디바이스드라이버프로그래밍2(Device Driver Programming 2) : 3학점

      윈도우즈 시스템의 컴퓨터와 주변에 부착된 특정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Windows Architechture, 커널 모드 디버거 사용 방법, Third Party Tool 사용 방법 을 이해하고, 윈도우즈 드라이버 모델(WDM)을 근간으로 입출력 장치 또는 가상 장치에 대한 디바이스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방법을 다루며 프로젝트를 통해서 디바이스 드라이 버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 ▸병렬처리컴퓨터(Computer Architecture for Parallel Processing) : 3학점

      Pipelining의 원리를 이해하고 그 이론과 구현의 실례, 문제점들을 학습하여 RISC system 의 개념을 돕는다. 병렬 컴퓨터를 프로그래밍하기 위한 병렬 시스템의 정형화를 위한 동시성 이 론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순차 언어의 한계를 극복하는 동시 언어와 병렬 언어의 구조와 계산 모델을 공부하며 병렬 시스템 프로그래밍의 시멘틱스와 패러다임 등을 습득한다.

    • ▸소프트웨어보안(Software Security) : 3학점

      네트워크 보안이나 암호를 통한 보안이 아닌 프로그램의 보안성을 다룬다. 프로그램이 가지는 보안 관련 취약성을 논하고 이를 극복하는 기법을 익힌다. 기존의 프로그램 분석 및 검증 기 법뿐 아니라 보안성 분석 및 검증 기법을 공부한다.

    • ▸타입 시스템(Type Systems) : 3학점

      타입 시스템은 프로그램에 오류가 없다는 것을 자동으로 검사해 주는 가장 성공적인 구문적 인 기법이다. Church와 Curry의 타입 시스템을 이해하고 다양한 응용 시스템을 공부한다.

    • ▸운영체제특론(Advanced Operating Systems) : 3학점

      컴퓨터를 구성하는 각종 리소스들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방안과 스케쥴링 설계 방법을 연구 하고 이를 위한 각종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설계 및 구현 기법을 습득한다.

    • ▸컴퓨터시스템설계론(Computer System Design Theory) : 3학점

      컴퓨터의 기본 구성인 논리 및 순차회로의 설계, 회로에 대한 테스팅 및 테 스트 가능한 설계 기법등을 익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부터 수퍼컴퓨터까지의 기본 설계 원리 및 최근의 동향 등 을 연구한다.

    • ▸컴퓨터네트워크특론(Advanced Computer Network) : 3학점

      데이타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의 광범위한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와주고 네트워크 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관련되는 기술의 이해와 사용 능력의 배양이 목적이다.

    • ▸멀티미디어특론(Advanced Multimedia) : 3학점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성 및 처리방법등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며, 멀티미디어 의 제작, 처리, 전송과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응용에 대하여 배운다.

    • ▸정보공학특론(Advanced Information Engineering) : 3학점

      정보의 수집, 처리 및 저장과 이용에 관련된 여러 방법론에 관한 연구를 하며, 정보의 흐름에 서 발생하는 코드화, 정보량 해석, 보안, 암호화 및 정보의 검색 등에 관한 기술을 익힌다.

    • ▸프로그래밍 프로젝트(Programming Project) : 3학점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문법 지식을 바탕으로 최신의 이론을 실제로 구현하는 프로그래밍 기법 을 학습한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 지식을 재검토 후에, 최신의 인터넷 서버를 위한 프로 그래밍 기법을 구현하고,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화상처리의 기초 기술과 응용 기술을 구현 한다. 또한, 3차원 애니메이션을 위한 그래픽 기술을 구현을 구현한다.

    • ▸프로그램분석론(Principles of Program Analysis) : 3학점

      주어진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프로그램의 동작을 예측하고 분석하는 기술은 프로그램의 번역과 최적화에 이용될 뿐 아니라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프로그램 보안을 유지하는 중요한 자동 도구들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정형성, 프로그램 변환성을 바탕으로 요약 해석, 자료 흐름 분석, 제어 흐름 분석, 타입 추론 등을 연구한다.

    • ▸네트워크 보안( Network Security) : 3학점

      정보화 사회로 급속히 진입하는 지금, 해킹 혹은 컴퓨터 관련 사고의 증가로 인하여 네크워크 에서의 보안에 대한 관심 및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본 과목은 네트워크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에 관련하여 요구되는 보안 기능을 다룬다. 세부 사항으로는 근거리 통신보안, 무선 근거 리 통신망, WAN상에서의 사용자 인증, 컴퓨터간의 인증, 암호화 등이 있다.

    • ▸프로그램 검증기법(Logic for Program Verification) : 3학점

      프로그램의 정확성은 프로그램 시멘틱스와 프로그램 보안성 등이 프로그래머의 의도대로 구 현 되었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자동으로 증명하는 것은 중대한 소프트웨어일수록 중요 한 문제가 되고있다. 특히 시제 논리를 이용한 모델 검사 기법에 대한 고찰과 함께 프로그램 분석을 모델 검사로 해석하는 방법, 모델 검사에 프로그램 분석을 이용하는 방법 등을 연구한다.

    • ▸정보통신특론(Advanced Information Communication) : 3학점

      정보 통신은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기존의 컴퓨터에서 처리했던 정보 처리의 기술들이 포함 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정보통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되는 기술을 이해하 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 본 교과목의 목적이다.

    • ▸컴퓨터네트워크 응용(Applications of Computer Network) : 3학점

      초고속 통신 네트워크의 광범위한 분야에 대한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관리 및 응용기술의 이 해와 사용 능력의 배양이 목적이다.

    • ▸논문지도 1 (Directed Research 1) : 2학점

      각자의 전공에 따라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는다. 교과과정이 끝난 후에 학생 개별적으로 개설 적용한다.

    • ▸논문지도 2 (Directed Research 2) : 2학점

      각자의 전공에 따라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는다. 교과과정이 끝난 후에 학생 개별적 으로 개설 적용한다.

경영학과(Dept. of Management)

과목명 학점 시간
한글 영문
컴퓨터와 정보처리 Computer & Information Processing 3 3
한국경제학세미나 Economics Seminar 3 3
연구 및 조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3 3
경영혁신세미나 Seminar in Innovations and Management 3 3
경영자론 Managers and Executives 3 3
비교경영론 Comparative Management 3 3
이론경영학세미나 Management Theory Seminar 3 3
기업윤리특론 Business Ethics 3 3
논문지도1 Directed Research 1 2 2
논문지도2 Directed Research 2 2 2
광고론세미나 Seminar in Advertising Theory 3 3
마케팅관리세미나 Marketing Management Seminar 3 3
서비스마케팅관리세미나 Service Marketing Management Seminar 3 3
소비자행동론 Consumer Behavior 3 3
관광마케팅세미나 Seminar in Tourism Marketing 3 3
조직이론 Organization Theory 3 3
리더십세미나 Seminar in Leadership 3 3
노사관계론 Union-management Relation 3 3
조직행동세미나 Seminar in Organizational Behavior 3 3
조직과학세미나 Seminar in Organizational Science 3 3
창의력개발세미나 Seminar in Creativity 3 3
생산관리세미나 Seminar in Production Management 3 3
기술경영론세미나 Seminar in Technology Management 3 3
서비스경영세미나 Seminar in Service Management 3 3
의사결정지원시스템 Decision Support System and Expert System 3 3
정보시스템개발세미나 Seminar in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3 3
고급재무관리론 Advanced Financial Management 3 3
고급투자론 Advanced Investment 3 3
고급기업재무론 Advanced Corporate Finance 3 3
파생금융상품론 Financial Derivatives 3 3
재무회계이론 Financial Accounting Theory 3 3

  • ▸컴퓨터와 정보처리 (Computer & Information Processing) : 3학점

    컴퓨터의 고급 프로그램의 운용방법,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자료의 처리 등 정보처리에 필요한 컴퓨터 활용을 학습한다.

  • ▸한국경제학세미나 (Seminar & Korea Economics) : 3학점

    지난 반세기동안 한국경제의 발전과정을 고찰한 후 한국경제의 산업구조, 재정․금융정책, 대외무역정책, 장기발전과정 등 현실경제의 당면과제 전반에 관해 연구한다.

  • ▸구및조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 3학점

    박사과정 수업에서 필요한 연구 및 조사 기법들을 소개하고 실제 연구모형을 설계하여 조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경영혁신세미나 (Seminar in Innovations and Management) : 3학점

    현대사회가 비선형사회, 지식사회, 창의성사회, 모바일사회, 디지털사회 등 으로 명명되듯 기업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가 예측 불가능할 정도로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거나 변화를 창출하기 위해서 기업들에게 다양한 혁신활동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교과목에서는 경영혁신의 개념, 규범적 방향, 고려해야 할 변수 등에 관해 살펴본 후, 기업현실에서 혁신의 성공적 이행을 위해 요구되는 실천과제들에 관해 토론하고자 한다.

  • ▸경영자론 (Managers and Executives) : 3학점

    기업을 성공으로 이끌고 있는 경영자! 그들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사항들에 관해 학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경영자와 리더는 다른 개념인가?, 경영자의 역할, 경영자들에게 요구되는 자질, 존경받는 경영자들의 특성 그리고 기업가 정신 등에 관해 토론하기로 한다.

  • ▸비교경영론 (Comparative Management) : 3학점

    경영의 제도나 시스템은 그 국가가 지니고 있는 문화적 배경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어떤 이론이나 제도가 지니고 있는 특징이 다를 수 있는데, 이러한 제국가의 조직경영, 조직행동, 조직문화를 비교 연구한다.

  • ▸이론경영학세미나 (Management Theory Seminar) : 3학점

    경영학의 역사적 발전과정, 경영관리론의 기초내용, 최근의 연구동향 등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 ▸기업윤리특론 (Business Ethics) : 3학점

    기업이 경영활동 수행 중 직면하게 되는 각종 윤리적 문제와 그 해결방법에 대해 이해한다. 또한 기업윤리관련 국내외 사례연구를 통해 윤리적 문제 발생시 기업이 대응해야 할 기준과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 ▸논문지도1 (Directed Research 1) : 2학점

    본 교과목에서는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들에 관해 학습하고자 한다. 논문주제를 선정하는 방법, 1차․2차 자료수집방법,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 논문의 체계 등에 관해 학습한다.

  • ▸논문지도2 (Directed Research 2) : 2학점

    본 교과목에서는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들에 관해 학습하고자 한다. 논문주제를 선정하는 방법, 1차․2차 자료수집방법,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 논문의 체계 등에 관해 학습한다.

  • ▸광고론세미나 (Seminar in Advertising Theory) : 3학점

    광고의 역사와 발전 방향 그리고 신문, 잡지, TV, 라디오, 인터넷 등의 매체를 이용한 광고의 과거, 현재에 대해 공부한다. 그리고 아이디어 및 제작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이론에 대해 학습한다.

  • ▸마케팅관리세미나 ( Seminar in Marketing Management) : 3학점

    현대적 시각에서 영리 또는 비영리 조직체의 마케팅관리활동의 개념과 전략적 실행도구들을 이해한다. 또한 마케팅관리 성공 및 실패 사례연구를 통해 실제 조직운영에 필요한 현실적 시사점을 파악한다.

  • ▸서비스마케팅관리세미나 (Seminar in Service Marketing Management) : 3학점

    무형의 서비스에 적용할 마케팅전략과 각종 이론을 이해한다. 특히 서비스마케팅 믹스 요소인 7P를 중심으로 서비스마케팅 전반에 대한 선행연구와 실무적 시사점을 파악한다.

  • ▸소비자행동론 (Consumer Behavior) : 3학점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중점으로 연구하며, 구체적으로는 소비자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제품이나 상품에 관한 태도를 형성하는지를 파악하고 어떻게 구매 행위와 연결되는지를 연구하며 마케터들은 소비자들의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줄 수 있을지를 연구한다.

  • ▸관광마케팅세미나 ( Seminar in Tourism Marketing) : 3학점

    시대 변화에 따른 관광상품에 대한 고객의 다양한 욕구와 추구하는 편익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상품의 개발, 가격의 결정, 판매경로의 선정 등 관광상품의 특성을 적용시킨 관광서비스측면의 새로운 마케팅 개념에 대해 학문적 고찰을 통해 연구한다.

  • ▸조직이론 (Organization Theory) : 3학점

    조직현상의 이해와 분석에 따른 제반 이론들과 방법론들의 고찰 그리고 최신 조직이론 및 실증적 연구결과들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복잡한 조직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리더십세미나 (Seminar in Leadership) : 3학점

    조직의 유효성을 증대할 수 있는 리더십의 개념과 본질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리더십 형태를 연구한다. 사례연구와 문제토의에 대한 참여가 중심이 된다.

  • ▸노사관계론 (Union-Management Relation) : 3학점

    노사관계의 유형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문화적 요인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러한 요인에 따라 노사관계를 어떻게 정립할 것인가를 연구하고 나아가서 노동시장, 노동환경 등을 파악하여 합리적인 노사협력시스템을 연구하는데 중점을 둔다.

  • ▸조직행동세미나(Seminar in Organizational Behavior) : 3학점

    조직구성원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개인, 집단, 조직 수준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들에 관해 고찰한다. 특히 개인수준과 집단수준에서 일어나는 행동들을 주된 연구대상으로 한다.

  • ▸조직과학세미나(Seminar in Organizational Science) : 3학점

    조직론을 이해함에 있어 시스템적 사고와 전략적 선택이라는 접근법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고, 조직론 연구에 있어 거시적 접근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교과목에서는 구조적 상황이론, 전략적 선택이론, 시장과 위계이론, 자원의존이론, 제도화이론, 생태학이론, 문화적 접근법 등에 관해 고찰한다.

  • ▸창의력개발세미나(Seminar in Creativity) : 3학점

    경영혁신의 성공을 위해 조직구성원들의 창의적 사고가 요구되며, 기업에서는 구성원들의 창의력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본 교과목에서는 개인들의 창의력과 관련된 주된 개념과 창의력개발 방법 그리고 창조적 기업들의 성공비결, 창조적 기업을 만드는 방법 등에 관해 토론하고자 한다.

  • ▸생산관리세미나 (Seminar in Production Management) : 3학점

    생산 시스템의 효율적인 설계와 운용에 관한 이론과 기법을 습득한 후, 총괄 생산계획, 재고관리 자재소요계획 등 생산관리의 내용을 학습한다.

  • ▸기술경영론세미나 (Seminar in Technology Management) : 3학점

    기업의 연구개발, 엔지니어링, 생산 활동의 전 과정에 걸쳐 기업전략과 생산전략을 성취하는데 요구되는 기술적 필요를 예견하고 그에 따른 기술의 평가 및 획득, 그리고 사용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 ▸서비스경영세미나 (Seminar in Service Management) : 3학점

    서비스산업을 경영할 때 필요한 운영관리를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으로써 서비스업체의 입지, 전략, 품질, 수요예측 등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다룬다.

  • ▸의사결정지원시스템 (Decision Support System and Expert System) : 3학점

    기업경영에서 당면하는 여러 가지 의사결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대안을 개발하고, 비교․평가하여 최적 안을 선택하는 의사결정과정을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을 의미하며, 또한 경영관리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여 의사결정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보시스템이다.

  • ▸정보시스템개발세미나(Seminar in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 3학점

    특별한 목적을 위해 정보를 모우고, 처리하고, 저장하고, 분석하고, 확산시킨다. 또한 이 시스템은 투입물을 처리하여 사용자 또는 다른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산출물들을 생산해 낸다. 본 교과목은 이러한 과정들을 디자인하여 기업경영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 하도록 지도한다.

  • ▸고급재무관리론 (Advanced Financial Management) : 3학점

    재무관리 관련 학술논문을 통해서 각종 모형(models)을 연구하고, 실 경제상황을 분석하는 기법을 체험함으로써 이론을 현실에 접속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 ▸고급투자론 (Advanced Investment) : 3학점

    투자론 과정을 통하여 습득한 최적 투자결정(optimal investment decision)기법을 활용하여 투자자산 배분전략 및 운용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 ▸고급기업재무론 (Advanced Corporate Finance) : 3학점

    기업경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업재무관련 논문을 연구, 발표하여, 이를 실제 경영정책에 반영하도록 한다.

  • ▸파생금융상품론 (Financial Derivatives) : 3학점

    파생금융상품 중에서 선물과 옵션을 중심으로 위험을 관리하는 투자전략기법을 습득하고, 또한 다양한 주자자의 욕구에 맞는 투자상품 개발에 관하여 연구한다.

  • ▸재무회계이론 (Financial Accounting Theory) : 3학점

    재무회계의 이론과 회계원칙의 이론적 배경을 깊이 있게 다루며 특히 회계정보와 자본시장에 관한 이론과 실증연구를 다룬다.

행정학과(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과목명 학점 시간
한글 영문
행정이론 Public Administration Theory 3 3
정책이론 Public Policy Theory 3 3
조직이론 Organization Theory 3 3
정부예산론 Government Budgeting 3 3
사회과학방법론 Methodologies for Social Science 3 3
연구및조사방법론 Research Methods 3 3
계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for Public Administration 3 3
정부윤리 Government Ethics 3 3
복지국가론 Welfare State Theory 3 3
조직및정책심리 Psychology of Organization and Public Policy 3 3
공법세미나 Seminar in Public Law 3 3
행정과사회이론 Public Administration and Social Theory 3 3
지방행정론 Local Public Administration 3 3
행정학세미나1 Seminar in Public Administration 1 3 3
행정학세미나2 Seminar in Public Administration 2 3 3
논문지도 1 Directed Research 1 2 2
논문지도 2 Directed Research 2 2 2
행정정보체계론 Public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3 3
공공서비스론 Public Service Delivery 3 3
관료부패론 Corruption in Bureaucracy 3 3
지역거버넌스 Local Governance 3 3
시장과정부 Market and Government 3 3
비교행정론 Comparative Studies in Public Administration 3 3
북한행정론 Public Administration of North Korea 3 3
지방분권론 seminar on the Decentralization of Government 3 3
정책세미나 Ⅰ Seminar in Public Policy Ⅰ 3 3
정책세미나 Ⅱ Seminar in Public Policy Ⅱ 3 3
지역정책 Local Policy 3 3
정책평가론 Policy Evaluation 3 3
정책분석론 Policy Analysis 3 3
정책갈등과 협상 Negotiation and Conflict Management 3 3
위험관리와 안전정책 Risk Management and Safety Policy 3 3
정책과 입법 Policy & Legislation 3 3
행정과사회문제 Public Administation and Social Problems 3 3
복지행정론 Welfare Administraion 3 3
  • ▸행정이론 (Public Administration Theory) : 3학점

    복잡 다양한 행정현상을 설명, 분석하는 다양한 이론의 변화와 발전과정을 역사적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행정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이해한다. 다양한 이론적 관점의 주장을 이해하고 이론적 연계 가능성을 파악함으로써 실제 행정 현상의 분석과 행정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한다.

  • ▸정책이론(Theories of Public Policy) : 3학점

    공공부문에서의 정책형성과 집행, 그리고 평가 등으로 이어지는 정책과정에 대한 제반 이론들을 토대로 현실의 정책과정을 분석한다.

  • ▸조직이론(Organization Theory) : 3학점

    현대사회의 조직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이론적 틀의 습득과 공공조직의 구조와 과정에 관한 이론을 통한 행정현상의 연구로서, 조직의 성격과 구조, 조직과정, 의사결정, 조직과 환경, 조직의 효과성에 관한 이론을 이해하고, 조직설계능력과 공공조직의 문제에 대한 진단과 처방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정부예산론(Government Budgeting) : 3학점

    정부예산의 정치적, 경제적 및 관리적 의미를 고찰하고 예산과정을 편성, 승인, 집행 및 회계 감사의 단계별로 파악하고 주요 쟁점들을 고찰한다. 우리사회는 크게 “시장”과 “정부“라는 두 개의 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부예산의 조달과 지출행위는 국가경제의 중요부분을 차지하면서 국민 개개인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정부예산에 관련된 이론적 논의를 중심으로 시장실패와 정부의 개입, 정부의 재정지출의 의미, 그리고 정부예산의 결정방법에 대한 논의를 공부한다. 아울러 조세의 의미와 주요 개념들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 ▸사회과학방법론(Methodologies for Social Science) : 3학점

    사회과학적 현실을 학문체계로 포섭하기 위해서, 실증주의적 방법, 해석적 설명의 방법, 실재론적 접근과 최근의 비판적 실재론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방법론이 제안되었다. 사회과학 방법론은 실재론과 인식론에 관한 논쟁을 기초로, 연구대상을 파악하고 추상화, 이론화하는 방법들을 다루는 과목으로 행정학을 비롯한 모든 사회과학적 학문의 핵심적 기초 과목의 하나이다.

  • ▸연구및조사방법론(Research Methods) : 3학점

    행정현상의 정확한 이해와 인과관계에 대한 신뢰성 있고 타당한 설명을 위해서는 과학적 연구와 조사 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양적 연구뿐 아니라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연구 및 조사방법의 개념과 수단, 절차 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의 경험적 현상의 조사, 분석에 적용해 봄으로써 행정현상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현실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배양한다.

  • ▸계량분석(Quantitive Analysis for Public Administration) : 3학점

    계량적 지식은 행정현상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설명과 예측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이나 정책결정의 합리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양적 분석방법의 개념과 원리를 습득하고 나아가서는 실제 행정현상의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정부윤리(Government Ethics) : 3학점

    최근 행정에 대한 책임성 및 대응성 차원에서 정부에서의 윤리가 강조되고 있다. 특히 정부윤리는 대내적인 행정윤리의 차원을 넘어서 민간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있어 정부윤리의 현황과 공무원의 청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들을 논의해 본다.

  • ▸복지국가론(Seminar in Welfare State) : 3학점

    현대 국가를 규정하는 대표적 국가양식으로 복지국가의 출현과 발달배경, 정책 레파토리 및 복지국가 위기론과 새로운 변화를 이론적 차원에서 규명하여 현대국가에 대한 실체적 이해를 도모한다.

  • ▸조직및정책심리(Psychology of Organization and Public Policy) : 3학점

    조직이나 정책 과정에서 발생하는 많은 현상은 합리적 분석에 의해서만 이해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인간의 독특한 심리적 조건이나 특성으로 인해 조직이나 정책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결과가 초래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본 과정은 조직과 의사결정의 기본적 단위로서의 개인뿐만 아니라 집단현상으로서의 조직과 정책결정에 관련된 다양한 심리적 원인과 현상들을 살펴보고 관련 지식을 습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현상을 분석해봄으로써 조직과 정책의 심리적 측면들에 대한 이해를 제고한다.

  • ▸공법세미나(Seminar in Public Law) : 3학점

    법의 의미, 행정과 법의 관계, 행정활동의 법제화 가능 영역 등등의 법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을 검토하고 분석한다.

  • ▸행정과사회이론(Public Administration and Social Theory) : 3학점

    행정현상은 보편적 사회현상의 한 영역으로서, 사회현상을 설명하는 일반이론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설명되고 기술되어진다. 따라서 사회이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응용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통해 행정현상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일반화 가능성이 높은 탐구가 가능하도록 한다.

  • ▸지방행정론(Local Public Administration) : 3학점

    지방행정의 개념, 역사적 발전, 조직, 재무, 인사, 기획, 중앙통제, 지역발전과 그 전략 등에 대해서 연구한다.

  • ▸행정학세미나 1(Seminar in Public Administration Ⅰ) : 3학점

    행정학과 관련된 여러 문제를 중에서 상황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중점적으로 논한다. 예를 들면, 통상정책, 환경문제, 민영화 등을 들 수 있다.

  • ▸행정학세미나 2(Seminar in Public Administration Ⅱ) : 3학점

    행정학과 관련된 여러 문제를 중에서 상황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중점적으로 논한다. 예를 들면, 통상정책, 환경문제, 민영화 등을 들 수 있다.

  • ▸논문지도1(Directed Research 1) : 2학점

    논문 작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 ▸논문지도2(Directed Research 2) : 2학점

    논문 작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 ▸행정정보체계론(Public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3학점

    행정조직관리와 정책분석에 필요한 정보수집, 관리, 검색, 전파를 컴퓨터 운영을 통해 체계화시키는 논리를 개발한다.

  • ▸공공서비스론(Public Service Delivery) : 3학점

    과거의 일방적인 정책공급 방식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지역주민을 일종의 클라이언트(Client)로 인식하고 그들의 요구에 적합한 행정서비스를 쌍방향적 차원에서 공급하는 문제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공공서비스의 개념과 유형, 특성 등에 대해 이해하고 관련 이론들(공공선택론, 주인-대리인 이론)을 살펴본다. 나아가 이러한 공공서비스의 성과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 ▸관료부패론(Corruption in Bureaucracy) : 3학점

    공직자의 부정부패는 어느 사회나 어떤 역사에서나 나타나는 현상이다. 공공문제의 대응과 해결에 있어서 중요한 행위자로서의 관료는 엄격한 법적, 제도적 규율하에서 행위한다. 하지만 동시에 상당한 정도의 재량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행정 행위 과정에서 부정한 행위를 저지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과정에서는 부정적 행위로서의 관료 부패의 개념, 유형, 영향, 실태와 관련 이론 등을 살펴보고 관료적 부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을 모색해 본다.

  • ▸지역거버넌스(Local Governance) : 3학점

    지방정부 차원에서 복지정책이나 서비스 등이 어떠한 전달체계를 통해 지역주민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거버넌스 차원에서 바람직한 복지의 공급방식에 대해 논의해 봄으로써 지방정부가 정책공급에 있어 민관 협력체계 구축의 현황과 필요성, 개선 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 ▸시장과 정부(Market and Government) : 3학점

    사회를 규율하는 두 가지 기본적 질서는 자율적 통제를 기초로 하는 시장과 위계적 통제에 바탕을 둔 정부이다. 지금까지 시장과 정부는 상호 대립되는 방식으로 인식되어 왔다. 신자유주의의 등장 이후 시장의 우월성이 지배적 사고로서의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의 입지는 점점 좁아지고 있다. 그러나 시장과 정부는 배타적이기보다는 상호보완적이라는 점에서 시장과 정부간의 동적 균형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 본 과정에서는 시장과 정부의 작동원리, 장점과 약점 등을 분석하고 파악함으로써 이러한 동적 균형을 찾아내고자 한다.

  • ▸비교행정론(Comparative Studies in Public Administration) : 3학점

    비교행정론은 여러 국가의 행정체제와 행태를 연구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일반성 있는 이론정립과 행정개선을 위한 전략을 추출해 내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비교정부론, 비교관료론, 비교행정조직론, 비교관료행태론, 비교정책론 등의 연구분야에 대해서 주목하는 한 편, 구체적으로 미국, 유럽, 일본, 아시아 국가 등의 행정제도와 제도가 실천되는 실상을 비교하여, 관료제의 구체적인 제도들을 상대화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안목을 배양하려 노력할 것이다.

  • ▸북한행정론(Public Administration of North Korea) : 3학점

    최근 남북한 간의 긴장완화와 더불어 북한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는 점점 더 중요한 문제가 되어가고 있다. 본 과목은 구체적으로 북한의 당·국가체제, 지방행정, 인사행정 등에 대해서 그 원리와 실천을 살펴봄으로써, 북한체제 전반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향후 변화전망에 대한 예측력을 높일 뿐만 아니라, 북한의 대내외 정책에 대한 설명력과 예측력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 ▸지방분권론(seminar on the Decentralization of Government) : 3학점

    정부간 관계로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지방정부와 지방정부의 관계를 학술적으로 검토하고 지방정부의 기능과 권한을 중심으로 국가의 운영체계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학설들을 연구 분석하여 국가운영체계로서의 분권형 국가론을 논의함.

    • ▸지역정책(local policy) : 3학점

      지역이 안고 있는 문제의 성격은 국가적 문제의 성격과 매우 상이하다. 따라서 지역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지역의 정치, 경제, 사회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 정책문제로서의 성격에 대한 이해도 동시에 필요하다. 본 과정에서는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도시 및 지역 문제의 성격과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정책평가론(Policy Evaluation) : 3학점

      정책평가는 정책의 집행 및 운영의 합리화를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본 과정은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정책평가의 목표, 과정 및 절차, 그리고 평가의 활용방안 등을 학습하여 평가의 기법과 논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학생들로 하여금 실제 정책사례를 가지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정책분석론(Policy Analysis) : 3학점

      정책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수단과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적의 정책 대안의 선택을 통해 문제를 가장 잘 해결할 수 있는 정책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대안들을 비교,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정책분석론은 정책분석이 무엇인가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실제 정책의 분석에 사용될 수 있는 실용적 기법을 습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정책갈등과 협상(Negotiation and Conflict Management) : 3학점

      정책결정에서부터 정책집행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은 정치적 과정이기도 하다. 따라서 정책과정에서는 상이한 가치와 이해관계간의 대립과 갈등이 발생하거나 협상이 필요한 경우도 발생한다. 대립과 갈등은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키고 정책 문제의 해결을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과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갈등의 적절한 관리와 효과적인 협상을 위한 전략과 수단 등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 ▸위험관리와 안전정책(Risk Management and Safety Policy) : 3학점

      현대사회는 안전에 대한 높은 욕구에도 불구하고 위험을 회피할 수 없는 위험사회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위험의 가능성을 더욱 높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위험관리는 현대사회의 중요한 정책문제라고 할 수 있다. 위험을 관리하고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위험의 성격과 특성, 위험관리의 전략과 수단이나 안전정책과 정책수단 등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위험 문제의 성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위험을 완화 혹은 제거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은 없는지를 찾아본다.

    • ▸정책과입법(Policy & Legislation) : 3학점

      정책결정과 그를 실현하기 위한 입법과정, 입법화 후의 정책실현의 성과 및 입법효율성 등을 다룬다.

    • ▸행정과사회문제(Pulibic Administration and Social Problems) : 3학점

      행정은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한 정치적, 정책적 노력의 결과이다. 따라서 사회문제에 대한 오른 이해는 행정력의 정확하고도 적극적인 수행을 위한 기초 지식이라 할 수 있다. 본 강좌는 거시적 사회 이론의 관점에서 사회문제를 설명함으로써, 행정의 개입 방식과 개입 지점을 착안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에 있다.

    • ▸복지행정론(Welfare Administraion) : 3학점

      복지행정의 핵심적 개념과 연구방법, 주요 이론 및 복지행정의 역사적 전개과정, 복지의 이데올로기적의의, 복지행정의 조직과 인사, 재정 및법, 공정부조와 사회보험, 사회복지 서비스 등 복지행정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 ▸정책세미나 Ⅰ(Seminar in Public PolicyⅠ) : 3학점

      정책과 관련된 최근의 이론들을 중심적으로 다루고, 다양한 정책적 사례들을 분석, 평가한다.

    • ▸정책세미나 Ⅱ(Seminar in Public PolicyⅡ) : 3학점

      정책과 관련된 최근의 이론들을 중심적으로 다루고, 다양한 정책적 사례들을 분석, 평가한다.

유아교육학과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과목명 학점 시간
한글 영문
영유아발달연구 Advance Research in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3 3
유아창의성교육 Creative Education for Children 3 3
유아교육프로그램연구 Contemorary Progra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3 3
유아교육연구세미나 Seminars for Research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3 3
유아교육연구방법 Research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3 3
부모교육 Parent Education 3 3
유아놀이연구 Study on Children’s Play 3 3
유아사회․정서교육 Socal and Emotion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3 3
유아예술교육연구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3 3
아동생활지도와 상담 Guidance and Counselling of Young Children 3 3
유아문학교육 Literature for Young Children 3 3
유아과학교육 Sc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3 3
유아교사교육론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3 3
유아수학교육 Mathemat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3 3
유아언어교육 Language A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3 3
유아교육연구의 양적 접근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3 3
유아교육연구의 질적 접근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3 3
유아교육철학 Philosophy and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 3
유아교육과정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3 3
유아교육평가 Evalu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3 3
유아교육장학론 Supervis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3 3
유아교육행정과 리더십 Administr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Leadership 3 3
유아다문화교육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3 3
유초연계교육 Issues and Strategies for Integrating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3 3
유아미학교육 Aesthet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3 3
유아의 권리 및 복지 Children’s Rights and Welfare 3 3
논문지도 Individual stud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2 2

공통과목(Basic Required Courses)

  • ▸영․유아 발달 연구(Advance Research in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 3학점

    현장에서의 관찰과 지도경험을 연관지어 영유아들의 신체적, 인지적, 언어적, 사회적, 정서적, 도덕적 발달의 특징 및 원리를 이해하고 평가한다. 더 나아가 국내외의 관련 연구 논문들을 분석함으로서 최근의 영․유아 발달 경향과 유아교육현장 적용에 관한 방법을 탐구하고 논의한다.

  • ▸유아창의성교육(Creative Education for Children) : 3학점

    창의성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습득하고, 창의성 개발 훈련을 통해 교사 스스로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유아들의 창의적 사고와 능력을 도와주는 교사역할 및 교수 학습 방법을 고안하여 유아교육 현장에 적합한 창의성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유아교육연구세미나 (Seminars for Research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 3학점

    최근 유아교육 분야에서 당면하는 발달, 교육 방법 및 평가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그 성격과 원인을 분석하고 문제해결 방안에 대한 다양한 접근들을 모색한다.

  • ▸유아교육연구방법(Research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3학점

    과학적으로 유아교육을 연구하기 위해 연구 문제의 선정부터 다양한 질적 및 양적 연구방법, 연구에 포함되는 통계적 분석, 연구보고서 작성에 이르기까지 연구에 필요한 일반적 절차를 익히고, 그 과정을 분석․ 검토해본다.

  • ▸부모교육(Parent Education) : 3학점

    효율적인 부모-자녀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에 관한 이론과 프로그램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그 내용과 활동 및 전략들을 분석 연구한다. 부모자질과 능력을 향상시키는 부모 교육과 가족을 지원하는 방법과 자료를 개발하는 능력과 상담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자질, 기술 및 능력을 기른다.

  • ▸유아놀이연구(Study on Children’s Play) : 3학점

    놀이 이론, 교수 및 실제에 관한 국내외의 연구를 고찰하고, 이를 기초로 창의적인 교수전략과 놀이교수 모형을 구안하여 현장에서 적용해본다. 나아가 놀이 중재 방법과 놀이치료에 관한 이론적․ 실제적 탐구를 통하여 놀이와 발달에 문제가 있는 유아들을 위한 심도 있는 놀이지도가 가능하도록 한다.

  • ▸유아사회․정서교육(Socal and Emotion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3학점

    사회 정서와 관련 이론을 바탕으로 유아 사회 교육에서 필요한 내용을 검토하고 교수 학습방법을 논의해본다. 관련된 국내외의 연구를 기초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적용해 본다.

  • ▸유아예술교육연구(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3학점

    유아들이 음악, 미술, 동작 등 예술 영역에서 창의적이고 아름답게 표현하도록 필요한 제반 이론을 탐구하고 교수방법 및 교수매체 제작을 심도 있게 연구한다. 나아가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 지식을 습득하여 유아 예능 활동에 대한 프로그램을 구성, 실행,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유아생활지도와 상담(Guidance and Counselling of Young Children) : 3학점

    유아의 자주적인 생활습관을 기르고 온전한 아동으로 성장하도록 다양한 이론과 교수 학습 방법을 탐구한다. 상담 및 지도의 사례를 통해 유아의 부적응 행동 및 원인을 바르게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교육현장에서 유아들이 기본적인 학습과 도덕성을 함양할 수 있는 방법들을 비교, 분석, 검토한다.

  • ▸유아문학교육(Literature for Young Children) : 3학점

    문학적 활동이 유아에게 주는 영향, 다양한 유아문학의 이론, 유아문학의 전달방법 등을 학습하고 유아를 위한 실제 동화, 동시 등의 다양한 작품을 감상하고 분석한다. 교육현장에서 요구되는 유아를 위한 문학활동을 계획하고 발표하고 평가하는 기회를 통해 문학활동의 실제 교수능력을 기른다.

  • ▸유아과학교육(Sc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3학점

    유아의 자연 및 과학적 지식에 관한 제반 이론을 학습한다. 이론을 토대로 하여 발달단계에 적합한 과학 교수방법을 연구한다. 유아를 위한 과학활동을 계획, 실행, 평가하는 기회를 통해 과학교육을 위한 교수능력을 기른다.

  • ▸유아교사교육론(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 3학점

    유아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이론 및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대하여 학습하고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인성 및 자질을 배양하여 교육의 인간화, 통일, 정보화를 주도하는 유아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한다.

  • ▸유아수학교육(Mathemat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3학점

    유아의 수학적 개념 발달과 유아수학교육의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하여 유아의 수준에 적합한 수학교육활동을 계획, 실행 및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여 유아를 대상으로 한 수학교육의 교수능력을 기른다.

  • ▸유아언어교육(Language A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3학점

    언어발달이론을 학습하고 유아의 언어발달을 촉진시키는 언어교육방법도 학습한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언어영역의 활동을 유아의 발달수준에 맞추어 계획하고 발표, 평가하는 기회를 통하여 언어교수에 대한 실제적 능력을 기른다.

  • ▸유아교육연구의 양적 접근(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3학점

    유아교육연구 수행에 기초가 되는 연구방법론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도를 높이고자 연구와 조사방법의 개념, 수잔, 절차 등에 대한 지식을 탐구한다. 최근 유아교육분야에서 수행된 양적연구방법에 대한 연구과정을 살펴보면, 실제 유아교육분야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유아교육분야의 양적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기초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 다변량분석, 구조방정식 등의 양적연구방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 ▸유아교육연구의 질적 접근(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3학점

    연구자의 직관적인 통찰에 바탕을 두고 유아교육분야의 사회, 문화 현상의 의미를 해석하고 이해하는데 필요한 질적연구방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실행연구, 생애사, 현상학, 근거이론, 사례연구, 내러티브연구 등 질적연구방법을 살펴봄으로써 질적연구에 필요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고 유아교육분야의 학술논문연구를 위한 역량을 함양한다.

  • ▸유아교육철학(Philosophy and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3학점

    유아교육의 철학적 바탕이 되는 동서양의 사상을 살펴보고 유아교육분야에 영향을 미친 다양한 철학적 관점을 이해한다. 포스트모더니즘, 에코페미니즘, 현상학 등 다양한 현대교육철학 사조를 바탕으로 유아교육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실시한 뒤, 해결지침을 모색한다.

  • ▸유아교육과정(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3학점

    유아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교육과정 이론과 다양한 관점을 분석하고, 최근 유아교육과정이슈 및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육과정을 새롭게 설계하고 검토해본다.

  • ▸유아교육평가(Evalu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 3학점

    유아의 발달을 진단하고 유아교육프로그램을 개선하고자 유아교육 평가의 개념, 유아교육 평가의 방법,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의 실제를 탐구한다. 교육과정, 학습과정, 교수방법, 평가의 유기적 상호관련성을 모색한 뒤 포트폴리오평가, 강점기반평가, 레지오에밀리아의 기록화, 다중지능이론의 평가 등 최신 유아교육평가의 흐름을 고찰한다.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수준 증진을 위한 유치원평가와 어린이집평가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 ▸유아교육장학론(Supervis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3학점

    유아교육장학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유아교육분야의 다양한 장학유형을 검토해봄으로써 장학에 대한 전문적 역량을 기른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장학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운영될 수 있도록 멘토링, 전문서적읽기, 마이크로티칭, 학습공동체 등 다양한 장학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유아교육분야의 장학에 대한 실제를 탐구한다.

  • ▸유아교육행정과 리더십(Administr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Leadership) : 3학점

    교육행정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이론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도록 하며 유아교육기관 조직, 유아교육분야의 구성원, 유아교육분야의 권력과 정치, 유아교육기관의 의사소통, 의사결정과정에 대해 탐구한다. 교육행정의 주요개념과 이론을 이해하고 유아교육행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자질을 함양한다. 또한 중간관리자와 유아교육기관 행정가에서 요구되는 리더십을 기르기 위한 전문적 지식, 기본적 소양, 교육관 등에 대한 다차원적인 방안을 모색한다.

  • ▸유아다문화교육(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3학점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철학적 이론을 탐구하고, 다문화 관점에서 문헌들을 찾아 읽고 토론함으로써 유아교육에 대한 넓은 시각을 형성하도록 한다. 다문화교육 관련된 국내외의 연구를 기초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다문화프로그램을 고안하여 적용해 본다.

  • ▸유초연계교육(Issues and Strategies for Integrating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 3학점

    유아교육과 초등교육 간의 연계성 도모를 위한 효율적인 연계방안을 살펴본다. 유초연계교육 관련이슈를 살펴보며 유초연계의 필요성과 의미를 검토한다.

  • ▸유아미학교육(Aesthet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3학점

    미학과 미학교육에 대한 이론을 심화하여 미학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철학적 이론을 탐구한 뒤, 유아교육현장의 실천적 지원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유아교사교육자로서의 역량을 강화한다. 또한 미학교육워크숍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능력을 길러 심리적 수업을 통한 예술표상활동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예술적 감수성을 증진하기 위한 유아교육분야의 미적안목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시각이미지, 수업미학, 청각이미지, 내러티브, 춤 등에서 탐구한다.

  • ▸유아의 권리 및 복지(Children’s Rights and Welfare) : 3학점

    아동복지와 관련된 세계적,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복지의 개념, 복지법, 복지제도에 대하여 학습하고 아동복지의 전망에 대하여 토론한다. 또한 유아권리신장을 위한 교사, 부모 등의 역할을 살펴보고 유아교육복지의 주요개념, 정책 및 실제를 연구한다.

  • ▸논문지도(Individual stud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2학점

    관심있는 연구분야를 선정하여 심층적으로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으며, 관심분야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를 수행한다.

건설공학과 (Department of Construction Engineering)

과목명 학점 시간
한글 영문
내진공학 설계 Earthquake Resisting Design 3 3
건축구조물 진동제어 Vibration Control of Building Structure 3 3
콘크리트 내구성 특론 Advanced Concrete Durability 3 3
건설경영 특론 Advanced Construction Management 3 3
구조신뢰성 해석 Structural Reliability Analysis 3 3
위험도분석의 응용 Risk Analysis of Water Resources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3 3
토지이용계획 Land Use Planning 3 3
철근콘크리트구조 특론 Advanced Reinforced Concrete Analysis 3 3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3 3
연약지반처리특론 Advanced Soft Clay 3 3
논문지도1 Directed Research 1 2 2
논문지도2 Directed Research 2 2 2
내풍공학 설계 Wind Resisting Design 3 3
기초공학 특론 Advanced Foundation Engineering 3 3
연속체 역학 Continuum Mechanics 3 3
구조설계 특론 Advanced Structure Design 3 3
PS콘크리트 특론 Advanced PS Concrete Structure 3 3
철골구조 특론 Advanced Steel Structure 3 3
구조주제 세미나 Seminar on Structural Theme 3 3
건축재료 특론 Advanced Architectural Materials 3 3
건축 방재론 Architectural Disasters Prevention Theory 3 3
건축환경심리론 heory of Environmental Psychology in Architecture 3 3
건축디자인세미나 Architectural Design Seminar 3 3
경관디자인론 Theory of Landscape Design 3 3
인테리어디자인 특론 Advanced Interior Design 3 3
건축미학 특론 Advanced Architectural Aesthetics 3 3
파괴역학 Fracture Mechanics 3 3
응용수치해석 Applied Numerical Analysis 3 3
피로역학 Fatigue Mechanics 3 3
개수로 수리학 Open Channel Hydraulics 3 3
추계 수문학 Stochastic Hydrology 3 3
수자원계획 및 관리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3 3
유역수문모형화 Watershed Hydrologic Modeling 3 3
신경망이론의 응용 Neural Networks and its Application to Water Resources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3 3
대규모 수문학 Large Scale Hydrology 3 3
교통시설공학 Transportation Facility Engineering 3 3
교통용량이론 Theory of Transportation Capacity 3 3
지반조사시험법 Geotechnical Measurement and Exploration 3 3
지반공학해석기법연구 Numerical Analysi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3 3
흙막이 공학 Advanced Retaining Wall 3 3
지질공학특론 Advanced Geological Engineering 3 3
최적설계 Optimum Design 3 3
고급구조동역학 Advanced Dynamics of Stuctures 3 3
고급콘크리트공학 Advanced Concrete Engineering 3 3
고급교량공학 Advanced Bridge Engineering 3 3

공통과목(Basic Required Courses)

 

  • ▸내진공학설계(Earthquake Resisting Design) : 3학점

    전 세계적으로 최근 증가되고 있는 지진의 발생원인, 위치, 진동 특성 등을 학습한다. 지진파입력에 대한 탄성응답 및 비탄성응답을 단자유도계 및 다자유도계를 대상으로 수치해석 및 학습한다.

  • ▸건축구조물진동제어(Vibration Control of Building Structure) : 3학점

    고층건물에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진동특성에 대한 응답을 학습하며, 진동을 제어하기 위한수동형 제어법, 반능동형 제어법 및 능동형 제어법을 학습한다.

  • ▸콘크리트내구성특론(Advanced Concrete Durability) : 3학점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외부환경과 내부환경), 내구성 저하현상 및 내구성 평가기법의 특징과 내구성 저하에 따른 구조물의 상태, 사례 조사와 대책 등에 관하여 학습 한다.

  • ▸건설경영특론(Advanced Construction Management) : 3학점

    건설경영 및 관리의 기본이론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실무를 직간접으로 체험하게 하는 것으로, 주제를 선정하여 이에 대한 프로젝트를 발굴하여 수행하도록 한다.

  • ▸구조신뢰성 해석(Structural Reliability Analysis) : 3학점

    확률과 통계이론을 기초로 구조물의 신뢰도를 해석하는 기법을 학습한다. 세부 내용으로는 하중 및 저항력의 모형화 기법, 구조부재의 신뢰성 해석기법, 구조시스템 신뢰성 해석기법, 하중조합기법, 신뢰성 이론에 기초한 구조설계기법 등이 있다.

  • ▸위험도분석의 응용 (Risk Analysis of Water Resources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3학점

    수문학, 수리학, 지하수학, 수자원 및 환경시스템에 대한 위험도 및 불확실성분석에의 예제들을 취급하여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오차관리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

  • ▸토지이용계획(Land Use Planning) : 3학점

    토지이용계획을 위한 토지 및 도시경제와 관련된 제어론, 토지이용에 따른 공간구조에 대한 이론과 분석 및 기법을 익히고 합리적인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습득한다.

  • ▸철근콘크리트구조특론(Advanced Reinforced Concrete Design) : 3학점

    최근 사용되고 있는 항복선 이론, 스트럿 타이 모델 등과 같은 소성거동에 대한 철근콘트리트 구조 거동을 학습한다.

  • ▸유한요소해석(Finite Element Analysis) : 3학점

    구조역학,구조동역학에서 나타나는 편미분방정식으로부터 수치해를 구하는 방법 및 그 원리를 습득하는 것이 본 교과목의 목표이다. 이를 위해 유한요소해석의 수학적인 배경의 이해를 바탕으로 유한요소법의 응용을 다룬다. 유한요소해석의 바탕이 되는 변분문제와 지배방정식 그리고 에너지 최소화문제의 관계를 기술하고 Galerkin method에 바탕을 둔 근사해법으로부터 shape function을 정의한다. 그리고 공간상에서 이산화하여 전체행렬-벡터방정식을 유도한다. 정적 문제인 경우 변위,변형도,응력을 구하는 방법과 동적문제인 경우 고유진동수와 고유벡터 그리고 시간적분법을 이용한 시간응답을 구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 ▸연약지반처리특론 (Advanced Soft Clay) : 3학점

    연약지반과 관련된 지반정수 이해, 연약지반 설계에 있어서의 압밀이론 등, 실무 설계에서 필요한 전공지식 습득 및 설계하는데 필요한 절차 및 방법과 연약지반처리공법인 다짐, 치환, 재하중공법, sand compaction pile공법, vibroflotation공법, 웰포인트, 전기 침투공법, 약액주입공법 등의 이론 및 시공을 학습한다

  • ▸논문지도1 (Directed Research 1) : 2학점

    본 교과목에서는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들에 관해 학습하고자 한다. 논문주제를 선정하는 방법, 1차․2차 자료수집방법,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 논문의 체계 등에 관해 학습한다.

  • ▸논문지도2 (Directed Research 2) : 2학점

    본 교과목에서는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들에 관해 학습하고자 한다. 논문주제를 선정하는 방법, 1차․2차 자료수집방법,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 논문의 체계 등에 관해 학습한다.

  • ▸내풍공학설계(Wind Resisting Design) : 3학점

    건물이 고층화될수록 증가하는 풍하중에 대한 평가를 바람의 재현주기, 효과, 영향 등을 중심으로 학습하며, 바람이 구조물에 미치는 응답특성을 학습한다.

  • ▸기초공학특론(Advanced Foundation Engineering) : 3학점

    건축물에 작용하는 중력하중 및 횡하중은 최종적으로 기초를 통하여 지반에 전달된다. 지반의 전단파괴이론을 학습하며, 얕은 기초 및 깊은 기초의 거동에 대하여 학습한다.

  • ▸연속체역학(Continuum Mechanics) : 3학점

    역학의 한분야로서, 유한개의 연속체로 모델링 가능한 고체의 동적거동과 기계적 거동을 공부한다. 탄성 및 비탄성 고체에 대한 응답특성도 학습한다.

  • ▸구조설계특론(Advanced Structure Design) : 3학점

    설계기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다양한 구조형식에 대한 설계방법 및 응답특성에 대하여 학습한다.

  • ▸PS콘크리트특론(Advanced PS Concrete Structure) : 3학점

    프리 또는 포스트 텐션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방법 및 안전성 평가에 대하여 학습한다.

  • ▸철골구조특론(Advanced Steel Structure) : 3학점

    고강도 강재, 고기능성 강재 등을 적용한 철골 구조물 설계방법 및 평가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 ▸구조주제세미나(Seminar on Structural Theme) : 3학점

    시기적으로 민감한 주제를 선정하여, 관련 자료 조사 및 거동 평가 등의 주제에 대한 세미나로 수업을 진행한다.

  • ▸건축재료특론(Advanced Architectural Materials) : 3학점

    부위별 요구 성능과 합리적인 재료 설계방법론의 습득을 위하여 성능항목과 의미, 성능평가에 의한 합리적 재료선택 시스템의 구조 및 실용화에 대하여 학습하고, 사례조사를 발표한다.

  • ▸건축방재론(Architectural Disasters Prevention Theory) : 3학점

    건축물의 재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건축적 측면과 사용상의 측면에서 고려사항, 평가기법을 토의하고, 건물의 화재성상, 연소 확대방지, 피난 및 연기제어, 방·내화구조 등 방재계획과 최근의 방·내화 설계기법에 관하여 학습한다.

  • ▸건축환경심리론(Theory of Environmental Psychology in Architecture) : 3학점

    건축을 둘러싼 환경과 인간의 심리에 초점을 맞춰 행태와 행동분석 및 예측에 대해 학습한다.

  • ▸건축디자인세미나(Architectural Design Seminar) : 3학점

    건축의 디자인방법에 대해 실제적인 사례와 작가분석 자료수집을 통해 디자인의 전개를 세미나 형식으로 학습한다.

  • ▸경관디자인론(Theory of Landscape Design) : 3학점

    경관이 도시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학습한다. 특히 컴퓨터시뮬레이션을 통한 경관시뮬레이션의 응용방법과 수법개발의 적용을 학습한다.

  • ▸인테리어디자인특론(Advanced Interior Design) : 3학점

    인테리어공간의 디자인방법과 소재에 대해 실제적인 사례와 작가분석 자료수집을 통해 디자인의 전개를 분석하고 학습한다.

  • ▸건축미학특론(Advanced Architectural Aesthetics) : 3학점

    건축물의 외형에 나타나는 조형성에 대해 작가분석과 시대분석 등을 통해 디자인미학의 발달과정을 분석하는 내용으로 진행한다.

    • ▸파괴역학(Fracture Mechanics) : 3학점

      구조물의 응력집중과 파괴과정에 대한 내용을 학습하고, 실제 구조물의 파괴원인 분석 및 파괴기구에 대해 학습한다.

    • ▸응용수치해석(Applied Numerical Analysis) : 3학점

      구조해석에서 필요한 수치해석의 기초와 응용을 학습한다. 즉,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해석의 이론 및 원리를 이해하고 여러가지 비선형방정식 등을 계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실무에서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 ▸피로역학(Fatigue Mechanics) : 3학점

      구조물의 피로하중에 대한 분석 및 피로파괴 과정에 대해 수업을 진행하고, 실제 구조물에 대한 피로설계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 ▸개수로 수리학 (Open Channel Hydraulics) : 3학점

      개수로내 정상등류 이론에 의한 비침식성 및 침식성 수로의 설계방법과 각종 부등류의 설계방법 및 부정부등류의 해석방법을 학습한다.

    • ▸추계 수문학 (Stochastic Hydrology) : 3학점

      이수목적을 위한 수자원시스템의 입력을 확률통계론에 의한 추계학적 모의발생기법에 의해 발생시킬 수 있는 각종 선형모형의 구조와 응용에 대해 다룬다.

    • ▸수자원계획 및 관리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 3학점

      수자원시스템공학에 이어 더욱 다양한 형태의 최적화 기법에 대해 알아보고 수자원 계획과 관리를 응용한 연구과제를 수행한다.

    • ▸유역수문모형화 (Watershed Hydrologic Modeling) : 3학점

      유역의 강우와 유출간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각종 컴퓨터모형의 구조와 유출력 자료 등을 분석하고 그의 응용방법을 실습한다.

    • ▸신경망이론의 응용 (Neural Networks and its Application to Water Resources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3학점

      신경망 기법의 기본적인 이론과 신경망기법을 이용한 수문모형화, 수리해석, 수자원 및 환경공학에의 응용에 대한 예제들을 학습한다.

    • ▸대규모 수문학 (Large Scale Hydrology) : 3학점

      지구 및 국지규모 수문학적 순환과정, 육지/대기 상호작용, 수문학에서의 규모 및 수문학적 반응의 지형기후학적 구조에 대한 해석방법과 다양한 연구과제를 수행한다.

    • ▸교통시설공학(Transportation Facility Engineering) : 3학점

      도로의 평면교차로와 입체교차로의 계획, 설계 및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학습하고 교통안전표시와 시설 및 주차장 등의 도로시설의 설계 및 시공방법을 소계하며 이들의 설계를 통하여 설계이론을 교수한다.

    • ▸교통용량이론(Theory of Transportation Capacity) : 3학점

      도로교통에 관한 도로용량 분석방법을 강의하는 과목으로 도로를 연속류와 단속류로 구분하여 도로의 개념, 특성 등을 설명하고 2차선도로, 고속도로, 다차선도로, 신호교차로, 도시 및 교외 간선도로로 구분하여 각 도로의 용량분석을 위한 절차 및 기본요소를 소개하고 도로계획 및 유의수준을 분석하는 기법을 교수한다.

    • ▸지반조사시험법 (Geotechnical Measurement and Explorations) : 3학점

      지반조사, 현장측정 방법, 실내실험, 현장계측, 실험결과 정리 및 해석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 ▸지반공학해석기법연구 (Numerical Analysi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 3학점

      지반공학에서 시공 및 굴착에 따른 지반거동을 예측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한데, 주로 수치해석에 의존한다. 지반구조물 시공에 따른 지반거동 예측을 위해 수치해석을 적용함에 있어 주의해야 할 사항, 문제점 및 분석방법 등을 습득하고 지반공학에 관련한 유한요소법, 유한차분법, 유한경계법등의 수치해석이론 및 적용에 대해서 학습한다.

    • ▸흙막이 공학 (Advanced Retaining Wall) : 3학점

      흙막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흙막이공법에 대한 종류와 특징, 굴착에 따른 지반거동 형태, 흙막이구조물의 각종 해석기법과 설계기법, 지반 굴착공사시 흙막이와 인접지반 및 구조물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설치되는 계측 관련 사항 등에 대해 강의한다.

    • ▸지질공학특론 (Advanced Geological Engineering) : 3학점

      토목공학에서 흔히 사용되는 지질 조사, 물리탐사 및 현장시험법에 대하여 강의하고 구조지질의 기초이론 및 응용에 대하여 공부한다.

    • ▸최적설계(Optimum Design) : 3학점

      구조물의 합리적인 설계를 위한 최적화 기법들의 종류 및 원리에 대해 학습한다.

    • ▸고급구조동역학(Advanced Dynamics of Stuctures) : 3학점

      구조물의 동역학적인 현상을 수학적인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하며, 동시에 진동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체계적인 해결 방법을 습득하게 한다. 구조시스템의 진동에 대한 기초개념, 동역학의 고급 원리와 진동 연구를 위한 개념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산화된 시스템과 연속체에 대한 고유진동수 및 고유벡터에 관련된 고유치 문제, 이에 대한 근사적인 해법, 그리고 구조물의 동적 응답에 대해 강의한다.

    • ▸고급콘크리트공학(Advanced Concrete Engineering) : 3학점

      콘크리트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혼화제 및 혼화재를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콘크리트를 배합하고, 이러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굳지않은 콘크리트 및 굳은 콘크리트에 대한 각종실험을 실시함. 또한 최근에 급격히 연구되어지고 있는 고강도, 고유동콘크리트에 대한 배합방법 및 평가방법에 대한 수업도 진행할 계획임.

    • ▸고급교량공학(Advanced Bridge Engineering) : 3학점

      각종 교량에 대한 상세한 개념과 설계방법에 대한 수업을 진행할 예정임. 즉 교과서 이외에 시방서 및 각종 설계자료를 토대로 현재 설계회사에서 교량을 설계하는 방법을 가르쳐서, 본 수업을 이수한 학생은 간단한 교량에 대해서는 직접 설계할 수 있도록 수업을 진행할 계획임.

게임학과(Dept. of Game Study)

과목명 학점 시간
한글 영문
게임학 원론 Game Theories 3 3
게임인문학 Game Humanities 3 3
게임테크놀러지 Game Technology 3 3
게임창작 특론(1) (2) Game Design & Creation 3 3
게임세미나(1) (2) Game Seminar(1) (2) 3 3
게이미피케이션 개론 Introduction to Gamification 3 3
게임전공 연구조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ies 2 2
게임씽킹&경험디자인 특론 Game Thinking & PX(UX) 3 3
게임전공 주제연구(신화) Game Research of Mythology 3 3
게임전공 주제연구(교육) Game Research of Learning 3 3
게임전공 주제연구(도시) Game Research for City Design 3 3
게임전공 주제연구(헬스) Game Research for Healthcare 3 3
게임 비즈니스 특론 Game Business 3 3
게임인터렉션 특론 Interactive play 3 3
게임심리학 Game Psychology 3 3
게임인공지능 Game & A.I 3 3
게임스토리텔링 Game Storytelling 3 3
e스포츠마케팅론 eSports Marketing Theories 3 3
e스포츠분석연구 eSports Analysis Research 3 3
e스포츠연구세미나(1) (2) eSports Seminar(1) (2) 3 3
e스포츠운영특론 eSports Management 3 3
게임 윤리와 정책 Game Ethics & Policy 3 3
게임플레이 평가 방법론 Evaluation of Gameplay 3 3
논문(프로젝트) 연구 Research on Thesis(Project) 2 2
    • ▸게임학 원론(Game Theories) : 3학점

      게임학의의 전반적인 이론 탐구를 통해, 세부 전공 방향을 설정한다.

    • ▸게임인문학(Game Humanities) : 3학점

      게임 콘텐츠 기획과 디자인을 위한 폭넓은 인문학 탐구를 통해 세부 전공 역량을 기른다

    • ▸게임테크놀러지(Game Technology) : 3학점

      게임창작 구현기술(엔진) 심화학습을 통해, 게임제작 및 연구자로서의 전문역량을 강화한다.

    • ▸게임테크놀러지(Game Technology) : 3학점

      게임창작 구현기술(엔진) 심화학습을 통해, 게임제작 및 연구자로서의 전문역량을 강화한다.

    • ▸게임창작 특론(1) (2)(Game Design & Creation ) : 3학점

      게임창작 기술을 탐구 분석하고, 세부전공별 실전 프로젝트를 구현한다.

    • ▸게임세미나(1) (2)(Game Seminar(1) (2)) : 3학점

      게임 선행 연구 및 이슈 분석과 토론을 통하여, 세부 전공 방향을 구체화 한다

    • ▸게이미피케이션 개론(Introduction to Gamification ) : 3학점

      게이미피케이션 이론 탐구와 주요 게임융합연구를 분석 비평한다.

    • ▸게임전공 연구조사방법론(Research Methodologies) : 3학점

      논문 작성에 필요한 연구조사방법 연구하고, 프로젝트 구현에 필요한 툴과 엔진을 탐구한다.

    • ▸게임씽킹&경험디자인 특론(Game Thinking & PX(UX) ) : 3학점

      게임씽킹과 디자인씽킹 방법론을 통해, 플레이어 경험(PX, UX/UI) 극대화 방안을 모색한다.

    • ▸게임전공 주제연구(신화)(Game Research of Mythology) : 3학점

      전세계 신화연구와 분석을 통하여, 게임창작 소재의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 ▸게임전공 주제연구(교육)(Game Research of Learning ) : 3학점

      교육분야에서의 게임연구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미래의 게임 연구 방향을 모색한다.

    • ▸게임전공 주제연구(도시)(Game Research for City Design) : 3학점

      도시문화와 게임 융합 연구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미래의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 ▸게임전공 주제연구(헬스)(Game Research for Healthcare) : 3학점

      헬스케어분야 게임응용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게임연구의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 ▸게임 비즈니스 특론(Game Business) : 3학점

      게임비즈니스 현황을 분석하고, BM연구를 통한 게임계의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 ▸게임인터렉션 특론(Interactive play) : 3학점

      에듀테크 및 인터렉티브플레이 현황 분석을 통한 실제 프로젝트 제작 역량을 강화한다.

    • ▸게임심리학(Game Psychology) : 3학점

      게임학과 디자인의 근간인 심리학 연구를 통해, 게임디자인 역량을 강화한다.

    • ▸게임인공지능(Game & A.I) : 3학점

      게임제작과 인공지능 기술의 융합 연구를 통해, 게임전문기술 역량을 강화한다.

    • ▸게임스토리텔링(Game Storytelling) : 3학점

      게임창작 위한 세계관 설정 및 스토리텔링 케이스스터디와 프로젝트를 실습한다.

    • ▸e스포츠마케팅론(eSports Marketing Theories) : 3학점

      스포츠마케팅에 관한 기초 지식과 주요 이론들을 이해하여 e스포츠산업현장에서 필요한 다양한 e스포츠마케팅 활동기법을 연구하고 적용한다.

    • ▸e스포츠분석연구(eSports Analysis Research) : 3학점

      e스포츠에서 발생하는 게임데이터와 선수데이터들의 활용방안과 이를 기반으로한 새로운 e스포츠융합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한다.

    • ▸e스포츠연구세미나(1) (2)(eSports Seminar(1) (2)) : 3학점

      <p class="info"e스포츠와 관련된 국내외 연구논문과 자료를 바탕으로 e스포츠 학제간 연구의 기반을 구축한다.또한 산학프로젝트와 관련되거나학생들이개별적으로 특별한관심을기울이는토픽들을 심층적으로연구한다.

    • ▸e스포츠운영특론(eSports Management) : 3학점

      e스포츠경기 운영의 기획단계는선수와 게이머들이만나기직전의중요한프로세스이다. 본교과를통해, e스포츠 경기운영의 필수 요소를습득하고이를실전에적용할수있는능력을기른다.

    • ▸게임 윤리와 정책(Game Ethics & Policy) : 3학점

      게임디자인 및 서비스 설계시, 플레이어의 윤리적 문제를 고찰한다.

    • ▸게임플레이 평가 방법론(Evaluation of Gameplay) : 3학점

      게임플레이 테스팅 및 게임사용성 평가를 통해, 플레이어들의 보상과 평가방법을 탐구한다.

    • ▸논문(프로젝트) 연구(Research on Thesis(Project) ) : 2학점

      전공 논문(or 프로젝트)의 토픽을 설정하고. 세부전공 분야 논문을 작성(구현)한다.

메뉴 메뉴열기
  • 교내전화번호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개인정보처리방침
대학원
  • 교내전화번호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개인정보처리방침

연락처 : 영주 054-630-1060, 동두천 031-839-9029
  위치 : 영주 : 우) 36040 경북 영주시 풍기읍 동양대로 145,     동두천 : 우)11307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 2741

Copyright © 2015 by DONGYANG UNIV. All Rights Reserved.

  • 스마트건축공학과
  • 스마트기계공학과
  • 스마트모빌리티학과
  • 철도대학
  • 철도건설안전공학과
  • 철도운전관제학과
  • 철도운전제어학과
  • 철도운전ㆍ전기신호학과
  • 철도차량학과
  • 철도자율전공학부
  • 철도경영학과
  • 철도차량시스템학과
  • 철도관제정보학과
  • 간호학과
  • 국제경영학과
  • 디지털콘텐츠학과
  • 의무군사학과
  • 정보통신군사학과
  • 사회복지학과
  • 도시ㆍ부동산학과
  • AI융합사회복지학과
  • 건축소방안전학과
  • 경찰범죄심리학과
  • 공공인재학부
  • 군사학과
  • 스마트모빌리티학과
  • 스마트모빌리티학과
  • 보건의료복지학과
  • 유아교육과
  • 게임학부
  • 디지털트윈소프트웨어학과
  • 스마트안전시스템학부
  • 웹툰애니메이션학과
  • AI빅데이터융합학과
  • IT융합경영학과
  • e스포츠학과
  • 공연영상학부
  • 디자인학부
  • 생활체육학과
  • 도시철도시스템학과
  • 현암교양교육원
  • 영주 캠퍼스
  • 동두천 캠퍼스
  • 동양대학교 대학원
  • 동양대학교 입학홍보처
  • 산학협력단
  • 영주캠퍼스 생활관
  • 동두천 캠퍼스 생활관
  • e클래스
  • 동양대학교 발전기금
  • 웹오피스
  • 학사인트라넷
  • 공무원사관학교
  • 인터넷증명발급
  • 중앙도서관
  • 웹메일
  • C&M
  • 한국학센터
  • 어학교육원
  • 철도사관학교
  • 미래교육혁신원
  • 국제교류원
  • 학생상담센터
  • 한국선비연구원
  • 학군단
  • 영어영재교육센터
  • 인권센터
  • 신문사